시장경영진흥원(원장 정석연)은 지난 9. 7~8일 양일간, 전국주부교실중앙회를 통해 전통시장(36개)과 인근 대형마트(36개)를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3개 품목에 대한 가격조사를 실시한 결과, 추석 차례상을 차리는데 소요되는 비용(4인 기준)은 전통시장이 평균 193,018원인 반면, 대형마트는 평균 249,950원으로 전통시장이 약 5만 7천 원 가량(22.8%)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품목 23개 중 밀가루를 제외한 22개 품목에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 보다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밀가루는 다단계 유통구조로 인해 대형마트가 9.7%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전통시장에서 가격우위를 보이는 품목은 채소?임산물(31.7%), 유과 및 송편 등 기타(25.5%), 선어류(24.9%), 생육(23.6%), 과실(10%)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채소류는 지속적인 일기불순과 태풍의 여파 및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이 줄면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며,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대형마트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시금치(1단, 300g)는 대형마트 대비 14.7% 저렴한 4,196원이며, 고사리(1단, 400g)는 5,743원으로 42.5% 저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일류는 기록적인 강풍을 동반한 태풍에 의한 낙과 피해로 인해 공급물량이 감소하여, 전통시장은 사과(1개 500g, 총 5개)는 19,536원, 배(1개 700g, 총 5개)는 24,886원으로 나타났으나, 대형마트의 사과와 배 각각 20,638원, 28,569원 보다는 크게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은 돼지, 닭고기 등 육류 사육두수와 수입량의 증가로 인해 돼지고기(산적용, 일반육, 600g) 8,756원, 생닭(1kg) 5,185원으로 나타났으며, 여전히 전통시장은 대형마트 대비 23.6% 저렴하였다.
이번 가격비교 조사결과, 태풍 및 기상악화로 인해 과채류의 가격이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은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비축물자란 수급불안정을 해소하고자 정부가 구매해 보관하는 물자를 말하는 것으로, 이번 공급 품목은 냉동오징어(661톤), 냉동명태(1,351톤), 냉동고등어(946톤), 냉동갈치(150톤), 냉동조기(250톤), 배추(400톤), 깐마늘(40톤)이다.
추석성수기에 가격상승이 우려되는 품목을 도매가의 80~90% 수준의 가격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서민가계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