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아지구 380만평 등 2012년까지 10여곳
서울 미아지역 약 380만평을 시작으로 오는 2012년까지 강북과 서남권 10여 곳이 주거와 업무, 상업, 교육시설 등을 한 데 갖춘 `자족형 복합도시′로 조성된다.
이를 위해 종로구 평동 등 12곳이 2차 뉴타운으로, 성북구 하월곡동 등 5곳은 균형발전촉진지구로 각각 선정돼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개발된다.
특히 특수목적고나 자립형 사립고가 없는 14개 구에 이들 학교 1개교 이상씩을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의 `뉴타운 및 균형발전촉진지구 지정 및 개발계획′과 `중생활권 단위 생활환경 종합정비계획′을 마련, 18일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4대문안과 강남으로 집중된 도시공간 구조를 다핵화하기 위해 2012년까지 강북과 서남권지역 10여 곳에 뉴타운과 균형발전촉진지구를 핵으로 한 반경 2∼3㎞의 생활권 별로 주거와 업무, 상업, 교육, 생활편익시설 등이 근접한 `자족형 복합도시′를 조성한다.
시는 강북구 미아동과 성북구 하월곡동 일대 약 380만평을 모델로 선정해 정비시행계획을 마련, 내년 12월까지 강북과 성북, 도봉, 노원 등 4개 구가 속한 동북2 생활권에 대한 종합정비계획을 확정한 뒤 2012년까지 강북과 서남권 10여곳을 대상으로 `자족형 복합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또 뉴타운 시범지구 3곳에 이어 이날 종로구 평동과 용산구 이태원.한남.보광동, 동대문구 전농.답십리동, 중랑구 중화동, 강북구 미아동, 서대문구 남가좌동, 마포구 아현동, 강동구 천호동, 양천구 신정3동, 강서구 방화동, 동작구 노량진동, 영등포구 영등포동 등 12곳을 2차 뉴타운 사업지역으로 선정했다.
이들 뉴타운 사업지역은 이해관계자간 의견 조정 등 개발준비가 끝난 지역부터 우선사업시행지구로 선정돼 내년말부터 연차적으로 사업에 들어간다.
시가 도시기반시설 등을 지원, 자치구별 중심거점지역으로 육성하는 균형발전촉진지구로는 성북구 하월곡동과 강북구 미아동과 동대문구 용두동, 서대문구 홍제동, 마포구 합정동, 구로구 가리봉동 등 5곳을 선정, 내년 12월 이후부터 개발에 착수키로 했다.
시는 이밖에 종로와 중구, 서대문, 광진, 성북, 도봉, 강서, 강동 등 특목고가 있는 8개 구와 강남.서초.송파 등 동남권 3개 구를 제외한 14개 구에 1곳당 특목고나 자립형 사립고 1개 교 이상을 유치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시는 2차 뉴타운 대상 12곳은 19일부터, 균형발전촉진지구 5곳은 내달중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부동산 가격이 전국 평균 수준의 30% 이상 오를 때 정부에 투기지역 지정을 건의하는 등 부동산 투기 방지대책도 시행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