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지난 10일 독도 방문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다” “일왕이 진심으로 사과할 거면 방한하라”고 연일 공세했다. 하지만 이날 경축사에서는 독도 관련 언급이 없었다. 일본의 분쟁지역화 노력이 본격화하는 등 후유증이 만만치 않자 수위를 조절한 것이다.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독도 문제는 이미 행동으로 보여줬으므로 경축사에 담을 필요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대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인류 보편적 가치에 반하는 전시 여성인권 문제’로 규정하고 일본 정부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지난 3·1절 기념사에서 “조속히 마무리해야 할 인도적 문제”라며 해결을 촉구한 데 이어 발언 강도를 높였다. 독도 문제와 달리 위안부 문제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일방적 지지를 받는 현실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대신 “일본은 우방이자 미래를 함께 열어가야 할 동반자”라는 점도 빼놓지 않았다. 역사를 직시하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추구하겠다는 기존 원칙은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남북 관계에 대해서는 북한이 비핵화에 나선다면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김정은 체제 출범 후 북한 내부의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며 국제사회를 향한 개혁·개방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 대통령은 이번이 재임 중 마지막 8·15 경축사인 만큼 지난 4년 반을 회고하고 남은 임기의 각오를 밝히는 데 집중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2008년 취임사에서 ‘대한민국 선진화 원년’을 선언했다오늘 대한민국이 당당히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음을 확인한다”고 선언했다. 남은 기간 경제위기 극복과 양극화 해결, 사회적 취약층에 대한 범죄 근절, 공정한 대선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