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국민들이 수돗물을 끓여 마시거나 정수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냥 마시는 경우는 1.5%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국이 물 부족국가라는 사실에 대해 국민의 70.6%가 공감하고 있어 물부족과 향후 자원 고갈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사실은 건설교통부가 지난 9월23일부터 10월13일까지 전국 20세 이상 일반인 천명과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물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여론조사에서 국민 대다수는 여전히 수돗물의 안전성에 대해 신뢰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의 수돗물 가격은 수자원 전문가들이 ′싸다′고 생각하는 반면 일반국민 대다수는 ′적당하다′고 답했다.
수돗물 가격에 대해 일반인은 ′매우 싸다′(3.6%), ′다소 싸다′(26.1%), ′적당하다′(50.8%), ′다소 비싸다′(18.4%), ′매우 비싸다′(1.1%) 순으로 답했으나 전문가들은 ′매우 싸다′(32.1%), ′다소 싸다′(48.1%), ′적당하다′(13.2%), ′다소 비싸다′(3.8%), ′매우 비싸다′(2.8%) 순으로 응답했다.
우리나라가 UN의 물 부족국가로 분류된 것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70.6%가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공감하지 않는다′는 부정적 의견을 나타낸 29.4% 중에서도 10명 중 7명 정도(66.6%)가 "향후 20년 이내에 물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국민 대다수가 우리나라의 물 사정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수돗물에 대한 신뢰와 관련, ′수돗물에 보리차 등을 넣고 끓여 마신다′와 ′수돗물을 정수기로 정수해 마신다′는 응답이 각각 52.5%, 42.6%, ′수돗물을 그냥 마신다′가 1.5%에 그쳐 전국민의 77.8%가 마시는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아직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지하수 개발·이용에 대해서는 일반인이 이용부담금 부과(50.8%), 국가 직접관리(38.1%) 순으로 답한데 비해 전문가는 국가 직접관리(67%), 이용부담금 부과(28.3%) 순으로 답해 대조를 보였다.
이밖에 수자원 확보를 위한 ′환경친화적 중·소규모 댐 건설′에 대해서는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공감하고 있으며 환경보존 요구가 댐 건설 장애요인 가운데 제일 큰 것으로 답해 환경문제가 댐 건설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건교부 수자원정책과 노재화 과장은 "이번 조사는 국민의 여론을 정확히 파악, 합리적인 정책 수립·집행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실시한 것"이라며 "여론조사를 통해 확인된 국민의사를 효과적으로 정책에 반영, 효율적인 수자원 확보와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