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머크사의 한국법인인 한국MSD(www.msd-korea.co.kr 대표: 현동욱)는 7월28일 '세계 간염의 날'을 맞아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C형 간염 무료 검진 기금을 '지구촌사랑나눔'에 전달했다. 외국인근로자 지원 전문 비영리기관인 '지구촌사랑나눔'에서는 이 기금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C형 간염 무료 검진 행사를 진행한다.
세계 간염의 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와 관리,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2010년 처음으로 제정한 날이다.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전 세계인구 12명 중 1명이 만성 감염되어 있으며, 특히 C형 간염의 경우 만성화 될 경우 간경화 및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검진 및 치료가 필요하다.
이에 한국MSD는 7월28일 세계간염의 날을 통해 C형 간염의 검진과 치료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페그인트론과 함께하는 ‘C.C.C 캠페인’을 마련 무료 검진 기금을 조성하였고, 사단법인 '지구촌사랑나눔'이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C형 간염 무료 검진을 진행한다. ‘C.C.C 캠페인’은 ‘Hepatitis C, Check up, Charity’의 약자로, C형 간염이 만성화될 경우 간경화 및 간세포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항 바이러스 치료를 통해 완치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검진 및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무료검진 행사는 지난 달 25일부터 전국의 간 분야 전문의료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국MSD 페그인트론과 함께하는 ‘C.C.C 온라인 퀴즈이벤트’에서 조성된 C형 간염 무료 검진 기금을 전액 기부해 마련되었다. C형 간염 무료 검진 행사는 지구촌사랑나눔 단체에서 진행되며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라면 누구나 검진을 받을 수 있다.
한국MSD 스페셜티 사업부 권선희 상무는 “세계 간염의 날을 맞아 B형 간염과 달리 예방백신이 없는 C형 간염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인식을 개선하고자 C형 간염 검진 사각지대에 놓인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C형 간염 무료 검진 기금을 기부했다”며 “한국MSD는 향후에도 만성 C형 간염은 간경화와 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조기에 적극적으로 검진하고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한 질환임을 지속적으로 알리며 C형 간염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페그인트론 주요 안전성 정보
페그인트론은 C형 바이러스 복제의 혈청학적 표지 (예, 대상부전 없이 트랜스아미나제 상승, HCV-RNA 또는 HCV 항체 양성 등)가 있는 만성 C형 간염환자의 치료에 허가 받았다. 페그인트론의 최적의 사용 방법은 리바비린과의 병용요법이다.
이러한 병용요법은 임상적으로 안정한 HIV에 동시 감염된 환자를 포함한 기존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만성 C형 간염환자 및 기존에 알파 인터페론(페길화 한 제제 또는 페길화하지 않은 제제)과 리바비린의 병용요법 혹은 단독요법 치료에 실패한 환자에게 적용된다.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1) 페그인트론 또는 다른 인터페론 제제에 과민한 환자 2) 자가 면역성 간염환자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중증의 정신질환 환자 또는 병력이 있는 환자 특히 심각한 우울증, 자살충동 또는 자살시도 환자 4) 통상적인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질환 환자 5) 대상부전 간질환 환자 또는 대상부전 간경화 환자 6) 리바비린과 병용하는 경우, 중증의 신장애 환자 또는 크레아티닌 치가 <50mL/분인 환자 7) 간질 또는 중추신경계 기능장애 환자 8) 지난 6개월 이내 불안정 심장질환 혹은 조절되지 않는 심장질환과 같은 심각한 심장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 9) 임산부 또는 수유부 10) 페그인트론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HCV/HIV 동시 감염환자 중 간경화가 있으면서 Child-Pugh 점수 6점 이상인 환자 페그인트론 투여에 의해 자살 기도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고 환자에게 부작용 유발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페그인트론 투여 시 주사부위염증 및 주사부위반응, 두통, 피로, 경직, 발열, 인플루엔자양증상, 무력증, 체중감소, 현기증이 빈번히 보고 되었으며, 소화기계에서는 오심, 식욕부진, 설사, 상복부통증, 구토가 빈번히 보고되었다. 빈혈, 백혈구감소증이 나타났으며, 근육통, 관절통, 근골격계통, 우울증, 과민성, 불면증, 불안, 주의력 결핍, 감정불안 등이 빈번히 보고되었다. 인두염, 기침, 무호흡증, 바이러스 감염, 구강건조, 탈모, 가려움증, 피부건조, 발진이 빈번히 나타났다.
새로운 MSD는 건강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글로벌 헬스케어 리더이다. MSD는 미국 뉴저지 화이트하우스 스테이션에 본사를 둔 머크(Merck & Co., Inc.)의 회사명으로, 의약품, 백신, 바이오치료제, 일반의약품 및 동물의약품을 통해 고객과 함께 하며, 전세계 140여 국가에 혁신적인 건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MSD는 의약품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자사 의약품을 기부하고 전달하는 광범위한 정책, 프로그램, 파트너십을 운영함으로써 의약품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MSD의 홈페이지
www.msd.com 또는
www.msd-korea.com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래예측진술(Forward-Looking Statement)
다음에 언급하는 요소들은 그 결과가 본 진술에 언급된 것과 실제로 다를 수 있습니다. 머크와 쉐링푸라우 합병에 의한 예상 시너지 효과는 실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실현된다 해도 예상된 기간 내에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특히 제약 산업 규제 및 제약 산업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류 중인 법률, 합병 후 조직 통합 실패에 따른 위험, 합병 후 사업 및 운영상의 관계 악화, 머크 및 쉐링푸라우가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능력, 머크 및 쉐링푸라우의 특허 그리고 기타 혁신 제품의 보호 장치에 대한 의존, 미국 및 기타 국가에서 새로 도입되거나 변경 중인 규제 및 보건 정책에 따르는 위험성, 소송 및/또는 규제 처분에 대한 노출을 들 수 있다.
머크는 새로운 정보나 미래의 사건 또는 기타 다른 사유로 인한 결과에 따라 미래예측진술을 공개적으로 대신할 의무를 지지는 않는다. 본 자료에 포함된 미래예측진술과 실제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게 하는 추가 요인들에 대해서는 머크의 2008년 연간보고서 Form 10-K 및 2009년 9월 30일을 종료일로 한 쉐링푸라우의 분기보고서 Form 10-Q, 2009년 6월 25일 머크가 제출한 위임장권유서(proxy statement), 기타 두 회사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들 서류는SEC의 인터넷 사이트(
www.sec.gov)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자료 제공 : 한국엠에스디(유) 홍보팀 이은명 과장 02-331-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