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서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주요 논과 밭의 농경지 토양을 정밀분석한 결과 온실가스배출량을 17%이상 줄일 수 있으며, 카드뮴(Cd), 납(Pb) 등 8개 유해중금속에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농업기술원(원장 조영철)에서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토양관리 정보를 농업인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농경지 토양 11,000점을 분석한 결과 논에서는 질소를 16kg/ha, 밭에서는 35kg/ha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질소비료 절감에 의해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논에서 14.2kg/ha, 밭에서 103.6kg/ha를 줄일 수 있어 전북농경지에서 년간 8,242톤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데
농경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농업인의 관리방법에 따라 많이 달라지므로, 토양의 잉여양분을 줄여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온실가스발생을 경감시키는 것이 중요시 되고 있다
한편, 토양의 카드뮴(Cd), 납(Pb), 니켈(Ni), 구리(Cu) 등 8개 유해 중금속함량은 토양환경 기준치의 10분의 1수준 이하로 분석되어 농산물 생산에는 안전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나, 유기물, 인산 등 영양성분은 작물재배 적정기준에는 과·부족하여 과학적인 토양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농도(EC)는 3.7 dS m-1, 유효인산 함량은 890 ppm으로 작물재배에 매우 불량한 토양환경을 유지하고 있어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토양환경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