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시험감독관이 예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적으로도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지금까지 노인시험감독관 일자리사업 실적을 종합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노인시험감독관 사업은 일정요건을 갖춘 60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을 선발해 시험내용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 뒤 시험시행기관에 파견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의 하나로 2005년부터 시작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파견노인수는 8월 현재 연인원 2100명으로 지난해 1200명보다 1.6배, 사업초기인 2005년 148명에 비해 15배 가량 늘었다. 노인감독관을 활용한 시험시행기관 역시 18개 기관으로 2005년 1곳, 2006년 6곳에 비해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지역 이외의 지역에 파견된 노인감독관의 비율은 전체의 46%였다. 이는 노인시험감독관 일자리사업의 전국적 확대를 추진한 2006년의 32%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시험시행기관별로 살펴보면 한국물류협회,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개발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 등 12개 기관이 올해 처음으로 노인시험감독관 사업에 참여했다. 특히 건설교통부 소관 물류관리사 자격시험을 시행하는 한국물류협회는 최근 446명의 노인을 시험감독관으로 위촉, 서울 등 5개 도시 17개 고사장에 배치했다. 이는 노인시험감독관 사업을 실시한 이래 단일시험으로는 최대규모다. 노인시험감독관은 올해 처음으로 공무원 채용시험에도 활용되고 있다. 국회사무처는 5월 국회공무원 채용시험에, 중앙인사우원회는 8월 7급 국가공무원 공개채용시험에 노인시험감독관을 활용한 바 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방자치단체에도 확대되고 있는 중이다. 복지부는 노인시험감독관 활용 확대의 이유로 노인시험감독관 활동사례가 퍼지면서 막연한 불안감이 해소되고 고령화를 함께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등 긍정적 변화 덕택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복지부와 노인인력개발원이 각 부처에 협조를 요청하고 시험시행기관을 방문하는 등 노인시험감독관 일자리 확대를 위해 노력해온 점도 효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노인시험감독관 사업은 주로 공휴일에 근무하기 때문에 청년일자리와 충돌하지 않으면서 정부예산투입이 없는 비예산일자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노인시험감독관 파견기회를 확대해 시험감독관이 노인에게 특화된 직종으로 확실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