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 친환경농업 2차 5개년계획 첫해 6만8천ha 계획-
전라남도가 유기농 생태전남 실현을 위해 생명식품산업육성 제2차 5개년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계획 첫해인 올해 경지면적의 20%(6만2천ha) 무농약 이상 인증 목표 달성이 무난할 전망이다.
5일 전나마도에 따르면 시군단위 ‘1/4분기 친환경농업 추진상황’을 점검한 결과 무농약이상 인증계획 면적이 경지면적의 22%수준인 6만8천여ha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목표치인 20%(6만2천ha)를 초과한 것이다.
인증 단계별로는 무농약 인증면적은 5만8천703ha로 경지면적의 약 19%로 올해 목표 5만3천여ha보다 1.2배(6천ha) 늘었고 지난해(4만258ha)보다 약 1.5배 증가한 것이다.
유기농은 경지면적의 3%인 9천392ha로 올해 목표 9천300ha보다 1.01배(92ha) 가량 늘었고 지난해(2천799ha)보다 무려 3.4배가 확대됐다.
시군별로는 해남이 1만3천ha, 장흥 4천800ha, 영암 4천500ha, 구례 3천939ha, 보성 3천685ha, 고흥 3천252ha, 진도 3천226ha 등의 순이다.
이처럼 무농약·유기농 실천분위기가 확산된 가장 큰 이유는 농가 스스로 올해부터 ‘저농약 신규인증’이 폐지됨에 따라 소비시장에서 생산품의 인지도와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이기 위해 인증단계를 상향해야 한다는 시장변화를 인식한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전남도와 시군의 차별화된 인센티브 제도도 한 몫 하고 있다. 도에서는 친환경농업단지조성 사업비를 유기농은 ha당 120만원, 무농약은 100만원, 저농약은 50만원 이하로 차등 지원하고, 친환경농업직불금은 밭작물의 경우 인증단계에 따라 유기농은 79만4천원, 무농약은 67만4천원, 저농약은 52만4천원을 지원하고 있다.
여수시, 나주시, 담양군 등은 무농약이상 인증농가에 ha당 45만~100만원 상당의 생산장려금을, 영광군, 완도군 등은 소득차액 발생시 그 일부를 지원하고 일부지역의 경우 학교급식재료는 무농약이상 인증 농산물로 공급토록 의무화하고 있다.
윤성호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앞으로 본격 영농철에 대비해 농자재 공급지원, 농기계 공동작업단 운영 등을 통해 적기영농을 돕겠다”며 “저비용의 유기농 실천기술 보급을 통해 고품질 안전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으로 뒷받침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