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경기북부 대표 관광명소인 청정 장흥계곡이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모두의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양주시(시장 이성호)는 17일 장흥계곡 하천 일대에서 조학수 부시장을 비롯한 장흥계곡 시민환원사업 TF추진단과 장흥면 상가연합회, 사회단체, 관계 공무원, 경동대 유아교육과 하람봉사단 등 1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대대적인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했다.
장흥계곡 석현천 일원 약3km 구간에서 진행한 이번 환경정화 활동을 통해 하천 내에 버려져 있던 쓰레기 등을 대대적으로 수거했으며, 새롭게 탈바꿈한 청정 장흥계곡을 보다 깨끗하고 쾌적하게 조성했다.
시는 청정 장흥계곡의 시민환원을 위해 5개 반으로 편성된 ‘장흥계곡 시민환원 사업 TF추진단’을 구성, 청정계곡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 추진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하천·계곡 내 무단점유와 불법행위 근절을 중점 추진하는 한편, 장흥계곡 복원지역 활성화 등 지역상인과 상생하는 실질적인 종합관리 지원대책과 방문객 불편 해소를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 장흥계곡 하천 내 불법 시설물 완전 철거
해마다 여름철 행락객들로 북적이는 장흥면 계곡은 불법 파이프 천막과 계곡 내 평상 등 불법 시설물과 바가지요금 등으로 몸살을 앓아 왔다.
시는 경기도와 함께 1년여에 걸쳐 계곡을 점령했던 불법 시설물을 철거하고 하천 이용을 위한 계단과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등 청정계곡 복원과 시민 환원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했다.
이 결과 장흥계곡 내 54개 업소에서 하천 구역에 무단으로 점용한 평상 2,031개, 보 134개소, 구조물 111개 등 불법 시설물에 대한 철거를 완료했다.
□ 예술이 흐르는 청정계곡 조성
청정계곡으로 복원된 장흥계곡이 문화예술이 흐르는 공간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한다.
시는 지난 7월 11일부터 오는 8월 30일까지 석현리 경로당 일대 계곡과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일대에서 주말 버스킹 공연을 진행한다.
이번 버스킹에는 총 60여 공연팀이 참여하며 전통음악과 서양음악, 대중음악, 동시대음악, 무용, 퍼포먼스 등 120여회의 다양한 공연으로 장흥계곡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버스킹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실외공간에서 개인 위생수칙과 사회적 거리를 준수하는 가운데 주말 오전 2회(11시, 11시40분), 오후 2회(4시, 4시40분) 등 1일 4회씩 진행한다.
또, 8월 31일까지 장흥 조각공원을 무료로 개방해 시민과 방문객들에게 편안한 쉼터를 제공하는 한편, 양주시 문화예술 페스티벌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진행할 계획이다.
□ 장흥계곡 생활SOC 사업 추진, 장흥계곡 활성화
시는 경기도 청정계곡 생활SOC사업을 통해 확보한 특별조정교부금 30억원과 시비 30억원 등 총 60억원을 투입해 장흥계곡을 찾는 시민 누구나 즐거움을 느끼고 감동을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편의시설 확충을 위해 6개소의 하천 진입계단과 주차장 3개소, 쉼터 2개소, 하천 진입 안내표지판 4개소를 설치하고 기존 40개소의 상가 계단과 5개소 상가 화장실 이용 협의를 완료했다.
또, 계곡 내 쓰레기 무단투기 등으로 인한 악취, 침출수 등 2차 환경오염과 공간 환경 악화 방지를 위해 구역별 쓰레기 집하장 5개소를 설치하는 한편, 하천‧도로변 쓰레기 불법 투기 예방을 위한 순찰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생활soc시설 브랜딩을 통해 ‘모두의 계단’, ‘모두의 화장실’, ‘모두의 쉼터’ 등의 안내문을 설치했으며 부족한 편의시설 지원을 위해 공유경제 사업을 도입, 기존 상가 등의 사유지를 시민 등에 개방하는 ‘착한 화장실’, ‘착한 주차장’ 설치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