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지난해 충남도 내 농산물 중 소득이 가장 큰 작목은 양송이버섯으로, 고소득 작목으로 알려진 인삼보다 소득액이 2배 가까이 높고, 최하위 시설배추보다는 54배 이상 많았다.
도내 농산물 평균 소득은 10a(1000㎡·버섯류는 3.3a 기준) 당 6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 농업기술원이 도내 33개 주요 작목 555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산 농산물 소득 조사’ 분석 결과다.
농산물 소득 조사는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가 주요 농작물 표본 농가를 선정하고, 농가가 작성한 작목별 경영기록장을 이용해 소득을 조사·분석하는, 국가 승인 통계자료다.
소득 조사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 33개 작목의 10a 당 평균 소득액은 597만 9539원으로 집계됐다.
‘소득 1위’ 양송이버섯은 3.3a 당 8315㎏을 수확해 4529만 1667원의 총수입을 올렸다.
경영비 2460만 3284원을 빼면, 소득 2068만 8383원, 소득률은 45.7%를 기록했다.
양송이버섯에 이어서는 서설들깻잎 1571만 2642원 딸기(촉성) 1311만 7727원 느타리버섯(균상) 1138만 1684원 인삼 1083만 7990원 등으로 나타났다.
소득액 최하위를 기록한 시설배추는 38만 1807원에 불과했다.
수확량은 오이(반촉성) 1만 2217㎏ 봄배추 1만 162㎏ 토마토(반촉성) 8946㎏ 양송이버섯 8315㎏ 시설배추 7141㎏ 등으로 조사됐다.
총수입은 역시 양송이버섯이 가장 많고, 시설들깻잎 2321만 1512원 딸기(촉성) 2162만 3415원 구기자 2073만 8750원 딸기(반촉성) 1951만 2455원 등으로 뒤를 이었다.
경영비도 양송이버섯이 압도적이었으며, 양송이에 이어서는 토마토(반촉성) 916만 708원 딸기(반촉성) 902만 4451월 딸기(촉성) 850만 5688원 시설고추(꽈리) 847만 3145원 등으로 집계됐다.
평균 총수입은 1141만 5833원, 평균 경영비는 543만 6284원 등이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은 작목은 생강으로 2016년 22만 6266원에서 지난해 209만 4557원으로 무려 825.7% 늘었다.
또 구기자 687만 8890원→1333만 4209원 93.8% 토마토(반촉성) 517만 7258원→977만 5897원 88.8% 시설고추 424만 1438원→583만 9021원 37.7% 방울토마토는 546만 3727원에서 711만 8826원으로 소득이 30.3% 늘었다.
반면 소득 감소율이 가장 큰 작목은 시설배추로 229만 1663원에서 83.3% 줄고, 고구마(397만 2295원→194만 5618원 51% 감소) 시설시금치(100만 9076원→55만 4505원 45% 감소) 쪽파(366만 1527원→213만 7664원 41.6% 감소) 시설호박(448만 7619원→263만 8482원 41.2%) 등이 뒤를 이었다.
도 농업기술원 장현동 연구사는 “2017년산 충남 농산물 소득액은 전년에 비해 9% 가량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라며 “이는 기상 악화에 따른 수확량 감소, 판매 단가 하락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장 연구사는 이어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소비자 소비 트렌드 변화에 적합한 고품질 농산물 생산·판매 및 마케팅 관리 기술 등을 보급해 농가들이 소득을 높여 나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