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삼산경찰서 경무과 경무계 경사 이상엽
보이스피싱에 대한 금융기관 및 경찰기관들의 많은 홍보 덕에 발생건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는 하나, 그 수법은 점차 진화하고 있으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은 여전하다.
초창기 '보이스 피싱' 범죄는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을 사칭해 불특정 피해자에게 전화를 건 후 은행계좌가 범죄에 사용되고 있다며 개인정보를 알아내 돈을 이체하면서 갈취하는 수법이었다면 '전화대출 사기방식'으로 진화되다가 최근에는 절도형 보이스피싱이 극성을 부린다.
절도형 보이스피싱이란 기존 계좌입금 방식이 아니라 피해자가 집에 돈을 보관하도록 하여 집에 침입한 후 돈을 절도하는 방법인데, 피해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개인정보 도용 등의 이유를 들어 세탁기나 냉장고 안에 돈을 넣어두라고 지시하고, 밖으로 유인한 후 그 사이 돈을 훔쳐간다. 대부분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보이스 피싱에 대하여 경찰, 은행 등에서 홍보를 지속적으로하고 있지만 아직도 보이스 피싱이 뭔지 모르는 노인들이 아직 많아 그 피해는 더욱 심각하고, 특히 홀로 사시는 노인들은 더욱더 그러하다.
보이스 피싱을 주도하는 조직은 점점 거대하고 조직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수법도 날로 다양해져 노인들이 속수무책 당하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노인분들에게 은행이나 수사기관 등에서 전화상으로 돈을 요구하는 사례가 없다는 것을 인식 시켜 주어야 보이스 피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는 특히 노인들의 다액 인출에 대해서는 보이스 피싱에 당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점점 세분화되고 교묘해지고 있는 전화사기에 대처하는 방안으로는 가장 중요한 것은 모르는 전화에는 답을 하지 않고 그들과 통화를 거절하는 습관을 길러야 하고 아무리 급한 상황이라도 경찰이나 검찰, 은행 기타기관 등에서는 전화상으로 통장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절대로 묻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보이스피싱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나 발생 후에는 피해회복이 어느 범죄보다 어려운 만큼, 우리 스스로가 개인정보 관리를 철저히 해야하며, 날로 진화하는 새로운 보이스피싱 유형을 알고 대처해야 한다. 의심과 예방이 최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