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대장동 개발비리 의혹 사건 항소 포기를 두고,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격화
국민의힘은 '항소 포기'에 대한 외압 의혹을 정조준했다.이 대통령 공소 취소 등 무죄 만들기 사전작업 아니냐는 의구심을 거듭 제기했다.항소 포기로 7,800억 원 넘는 비리 자금 국고 환수도 불가능해졌다며, 국회 긴급 현안질의와 국정조사를 제안했다.법무장관에 대한 공수처 수사와 탄핵을 거론하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더불어민주...

인천 강화군은 지난해 12월에 매입한 강화읍 신문리 소재 한옥과 소창공장을 2018년도 올해의 관광도시와 연계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지난 16일 밝혔다.
1930년대에 건축된 한옥과 공장 건물은 60~70년대 강화군의 지역경제를 견인했던 평화직물 공장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90년대 이후 무역자유화 및 중국산 면소창의 대량 유입으로 운영난을 겪게 되면서 오랫동안 도심의 흉물로 방치되어 왔다.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평화직물은 1956년에 마진수가 설립한 회사로 직조기 30대와 60여명의 종업원이 난초랑 봉황이 곱게 무늬진 각색 양단을 쉴 새 없이 짜던 곳이라 한다.
한옥 안채에는 강화도에서만 볼 수 있는 넓은 다락이 있으며, 일본식 풍으로 지어진 별채 내부에는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는 등 한옥과 일본식 가옥이 함께 지어진 것이 이채롭다.
직물공장으로 사용되던 건축물은 왕대공 트러스를 사용하여 전통 목구조와 서구식 목구조가 동시에 사용됐다는 점도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다. 당시 강화도의 생산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전통 주거건축이 대응되는 모습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강화군은 2018년도 올해의 관광도시를 대비하여 강화직물조합이 설립된 지 약 100주년이 되는 올해에 직물산업을 재조명하고, 이곳을 교육 및 체험전시관으로 조성하여 관광객들에게 강화군만의 전통 문화유산을 홍보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소창직물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등 강화읍 관청리의 관광플랫폼과 연계하여 신문리의 관광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