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창교도소 유치와 관련해 초등학교 집단 등교 거부 사태가 발생하면서 텅 빈 교실 |
|
6일 거창군의 법조타운 건립을 반대하는 군민들의 초등학생 등교 거부로 상당수 초등학교가 정상수업을 하지 못했다.
거창교육지원청은 이날 샛별·거창·아림·월천·창남·창동 등 11개(위천중 1개 포함) 초·중학교 학생 1292명이 등교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전체 17개 초등학교 학생 2987명의 절반에 가까운 인원이다.
거창 학부모들과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한 ‘학교 앞 교도소 반대 범거창군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법조타운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이날부터 오는 10일까지 초등학생들의 등교를 거부하기로 했다.
등교하지 않은 학생 가운데 300여명은 학부모들과 함께 법무부 항의방문과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 참석하기 위해 상경했다.
나머지 학생들은 군민대책위에서 마련한 전래놀이, 감성 수업, 영어 수업, 동화구연 관람 등 대체프로그램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군민대책위 소속 학부모와 시민사회단체 회원, 초등학생 등 600여명은 17대의 버스에 나눠타고 법무부로 출발했다.
이들은 법무부 장관 면담을 요구하고 성사되지 않으면 거창 법조타운 조성과 관련, 거창군에서 보낸 공문을 공개할 수 있는지 등 질문이 담긴 질의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이어 국회 정론관에서 거창 법조타운 관련 예산을 통과시키지 말고 건립을 재검토해 달라는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
이날 등교하지 않은 학생 중 25명은 현장체험학습원을 학교에 제출했다.
경남도교육청은 학생이 가족과 동행하면 연간 1주일 정도 현장체험학습을 허용하고 있다.
한편 비대위에 참가한 학부모 등 500여명은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거창 교도소 신축사업 계획은 철회되어야 한다”며 “특히 반경 1km 내 11개 학교 시설이 있는 교도소 신축은 재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거창군과 법무부 그리고 신성범 국회의원에게 강력히 요청 드린다”며 “1만여명이 넘는 거창군민들이 교도소 유치 반대 서명운동에 동참했고, 여론조사에서도 교도소 유치를 희망하는 군민보다 반대하는 군민이 더 많았음을 인지하시기 바란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