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4차 핵실험 징후 등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
박근혜 대통령은 23일 오전 시진핑(Xi Jinping, 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를 갖고, 한·중 관계 및 최근 북한의 4차 핵실험 징후 등 유동적인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 직후, 시 주석이 위로와 애도의 뜻 전달 및 구조활동에 지원 의사도 표명해 준 것에 대한 사의를 표하는 한편, 말레이시아 여객기에 탑승한 다수의 중국인들의 생사가 아직도 확인되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 한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세월호 사고 관련, 많은 학생들이 불행하게 희생된데 대해 매우 큰 비통함을 느낀다고 하면서 중국인 4인을 포함 희생자 및 실종자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위로를 표명하고, 한국측에 구조설비 지원을 조속히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중국이 북한의 핵보유와 추가 핵실험에 대해 반대 입장을 견지, 북한을 설득하는 노력을 해 준데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하며 북한의 추가 핵실험은 역내에서의 군비경쟁과 핵 도미노 현상을 자극하여 동북아 안보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6자회담 재개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우리 정부가 꾸준히 추진하고자 하는 한반도 프로세스와 남북관계 개선 노력도 동력을 잃게 될 수 있는 만큼, 북한에 대한 추가적 설득노력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독일 드레스덴에서 북한 주민의 인도적 문제해결, 남북 공동번영을 위한 민생인프라 구축,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사회·문화 교류 확대 등을 제안한 것에 대해 한반도가 평화와 남북간의 동질성 회복과 신뢰구축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을 언급, 북한 무역의 90%와 경제 지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큰 영향력을 가진 중국측이에서도 계속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시 주석은 한반도 정세에서 긴장고조를 막는 것은 한·중 양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하면서,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를 위해 각측간 대화를 설득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시 주석은 북한의 핵보유 반대에 대해서는 한·중 양국이 서로 일치된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박 대통령이 제안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및 한반도의 자주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양국간 긴밀한 전략적 소통을 바탕으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가 내실 있게 발전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금년에도 시 주석 방한 등을 통해 양국 관계의 양호한 발전 추세를 이어 나가가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시 주석이 한국을 방문할 것을 다시 초청하고 시 주석 방한시 한반도 및 지역 정세 등에 관해 더욱 심도있는 협의를 갖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방한 초청에 감사하고 양측이 편리한 시기에 자신의 방한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하면서, 11월 APEC 정상회의 계기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기대하며 환영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한국측의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지지하며 이를 계기로 더 많은 중국인이 한국을 방문하게 되어 양국민간의 우의를 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