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류인플루엔자(AI) 전국지도를 작성, 보급
- AI 전국지도는 AI 발생지도, 철새지도, 야생조류 AI 모니터링지도로 구성
◇ 고병원성 AI 다발지역과 철새도래지 맞춤형 AI 관리지도 지속 개선
- AI 전국지도에 축산지도를 더하여 맞춤형 AI 관리지원 강화 예정
□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발생현황 등 관련 자료가 표기된 전국 지도가 만들어져 AI의 체계적인 관리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학원)은 22일 전국 철새지도(2008-2010),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지도(2003-2011), 야생조류 AI 모니터링 지도(2012)로 구성된 AI 전국지도를 만들어 관련기관과 지자체 등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 과학원은 전국 농경지,하천,호수 분포도와 2008∼2010년의 환경부 겨울철새 전국조사자료에서 서산/천안, 영암/해남 등 12개 겨울철새주요서식지를 추출해 철새지도를 작성했다.
- 또한, 2003∼2011년의 전국 시?군별 HPAI 발생자료로(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HPAI 발생지도를 만들고 년도별 지역별 HPAI 다발지역을 표시했다.
- 철새지도와 HPAI 발생지도에 바탕하여 각각 10km의 반경을 갖는 43개 지점의 2012년도 겨울철새 AI 모니터링 지도를 만들었으며, 2012년에는 2만개의 AI 시료를 수집?분석할 예정이다.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HPAI :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 이번 지도는 철새 집중서식지와 가축 HPAI 다발지역에서 전국 43개 시? 군을 모니터링 지역으로 선정하고 야생조류 AI 시료를 연간 2만점 수집?분석하는 효과적인 AI 모니터링 지도를 작성하였다.
- 겨울철새의 집중 행동권이 1.4~10.2km인 점에 따라, 반경 10km의 모니터링 지역에서 시료를 채집할 수 있게 전국 총 44개의 모니터링 지점으로 구성된 2012년도 모니터링 지도를 만들었다.
- 산지나 인간활동이 활발한 시가지, 산업단지 이외의 지역으로 AI 모니터링 지역에서 제외된 지역은 주변지역에서 HPAI가 발생하거나, 정밀조사가 필요한 경우에 추가조사하도록 하였다.
□ 이번에 제작된 지도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철새지도에는 전국 12개 주요철새서식지를 구분하고, 서식개체수가 많은 5종의 겨울철새를 표시했다.
- 2008∼2010년의 연평균 국내서식겨울철새는 하천/호수를 끼고 논이 넓은 서부권의 금강하류권, 서산/천안, 영암/해남, 낙동강하류권 순으로 많았고 각각 22.5만, 20.4만, 10.2만, 7.4만 마리였다.
- 국내 유명 철새도래지 중 철원/연천, 창원(주남저수지), 순천(순천만)의 2008-2010년 연평균 국내서식 철새개체는 각각 40,027, 10,964, 9,301, 마리로 그리 많지 않았다.
- 2008∼2010년의 연평균 전국 서식개체수가 가창오리, 청둥오리, 쇠기러기, 흰뺨검둥오리, 큰기러기로 각각 77.7만, 15.5만, 8.3만, 7.1만, 5.7만 마리 순이며 모두 AI 감염우려종이었고 연평균 전국에 서식하는 겨울철새는 총 157.7만 마리였다.
□ 가축 HPAI 다발지역은 서부권의 서산/천안, 금강하류, 영암/해남권과, 내륙권인 여주/이천, 남부권의 낙동강하류권으로 모두 호수나 하천을 끼고 논이 넓은 철새 대량서식지 특징을 보였다.
- 천안은 2003, 2004, 2006, 2010과 2011년의 다섯해나 HPAI가 발생하여 전국에서 가장 빈발하였고, 아산은 네해 발생하여 천안과 아산이 있는 서산/천안 철새권이 HPAI 최고빈발지역이었다.
- 2003년 이후 총 40개 시?군에서 HPAI가 발생하였고, 발생건수로는 김제 42(2011년), 천안 18, 나주와 영암이 각각 17건이었고, 울산, 안성 등이 뒤를 이었다.
- 연도별 발생건수는 2008년과 2011년에 각각 97과 90건으로 지난 9년간(2003-2011) 총 발생건수는 219건의 85%를 차지하여 2008년부터 가축 HPAI 대량발생을 보였다.
※ 가축 HPAI 발생건수는 신고 양성건수와 역학관련농가 양성건수를 합쳐 산정
□ 과학원은 향후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와 협력하여 AI 전국지도에서 누락된 축산지도를 작성하는 등 축산환경에 따른 AI 관리 선진화에도 적극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2.02.22 환경부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