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국지도발을 격퇴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공동 국지도발 대비 작전계획’이 이달 중 완성된다.
군 소식통은 19일 “지난해 10월 말 김관진 국방장관과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이 제43차 한미안보협의회(SCM) 회의를 마친 뒤 밝힌 공동 국지도발 대비 작전계획 작성작업이 이달 중 완성된다”면서 “우리 군의 서북도서 방어계획과 합참예규, 위기조치예규, 합참의 대침투·국지도발계획인 ‘3100-11’ 등을 각각 보완했으며, 적 도발 시 제대별 대응개념과 대응 수준별 타격절차를 구체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작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말할 수 없지만 서북도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정전협정을 위반하는 북의 모든 도발행위를 포함한다”며 “3월 말 서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한·미 국지도발 공동작계는 그동안 북한 도발 시 한국군 단독으로 대처하던 계획에서 탈피해 한·미 공조로 작전을 펼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또 주한미군뿐만 아니라 주일미군, 미 태평양군사령부 소속 전력까지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미군은 전시에 동원될 전력 가운데 국지도발 때 신속하게 한반도에 투입할 수 있는 전력의 목록을 이미 작성했다. 미군 지원 전력에는 공기부양정을 이용한 북한의 기습 침투 시 주한미군의 아파치 헬기를 동원하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