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진도에 경제적, 홍보효과 미비”
군수 “승전광장 조성되면 개선 될 것”
전라남도·해남군·진도군이 공동주최하고, (재)명량대첩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있는 명량대첩축제와 관련해 재검토론이 부상해 주목을 받고 있다.
15일 오전 개최된 군의회 임시회(관광문화과 주요업무계획 보고)에서 조모 의원은 “전남도·해남군·진도군이 공동주최한다는 의미에 치중하다보니 실제로 진도군이 얻은 대가는 미비하다”고 지적하면서 그동안 제기됐던 ‘진도군 들러리 논란’을 공론화했다.
조 의원은 특히 “축제에 대한 투자비용과 관리비용을 따지면 열악한 재정형편에 부담이 된다”며 “결과적으로 축제가 경제적, 홍보효과에서 해남군에 치우치고 있어 재검토를 고민스럽게 생각해야할 시기이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전남도와 협의를 통해 축제비용 분담 등을 재조정하는 등 진도군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운영계획이 필요하다”며 “(재)한산대첩기념사업회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서 관광문화과 박모 과장은 “지리적 여건상 관광객 등 사람들이 해남으로 많이 몰리고 있지만 진도군이 손해를 본다고 해서 행사에 참여를 안할 수는 없는 문제이다”며 “축제비용 분담 등을 전남도에 건의 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동진 군수는 이와 관련해 “현재 진도군에 주무대가 없어서 해남에서 개막식을 개최하고 있으나 빠른 시일에 승전광장이 조성되면 진도에서 개막식을 개최하는 등 문제점이 개선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진도·해남 모두 불만
지난 2008년부터 공동행사로 추진되고 있는 명량대첩축제는 진도군과 해남군이 각각 4억원을, 전남도가 5억원의 예산을 분담해 투입하고 있다.
당초 진도에서는 아리랑축제로, 해남에서는 명량대첩제로, 축제가 각각 별도로 개최돼 왔으나 전라남도가 지난 2008년 국제화란 명분을 내세워 명량대첩기념사업회를 만들고, 두 지역의 축제를 통합해 주관하고 있다.
특히 2011년에 개최된 축제는 횟수로 4년차에 접어들었으나 행사 운영, 내용, 성과를 둘러싸고 진도군과 해남군 양측 모두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진도군은 주무대인 녹진 일대의 주차시설, 숙박시설 등 관광인프라가 해남군 우수영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해 관광객 대부분이 해남지역으로 집중되는 후유증에 시달렸다.
행사에 동원된 진도군 공무원들도 “공동개최라는 간판만 내 걸었을뿐 실상 진도군과 해남군 모두 실익을 얻는데 실패하고 있다”며 “행사 내용과 예산 등 축제운영 전반을 재검토할 시점이 됐다”고 공통된 반응을 보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