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 대표 리포트「RDA Interrobang」제41호 발간
김치는 우리 고유의 발효식품이자 한식 제1의 반찬으로, 천년이 넘는 역사를 함께 해온 우리 삶의 일부이다. 채소를 오래 보관해 먹기 위한 절임음식으로 시작한 김치는 양념을 버무리고 숙성을 시키는 우리만의 발효과학 식품으로 변신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여러 채소 저장방법 중에서 세계 유일이자 풍부한 영양과 암, 노화, 비만 등에 효과적인 기능성을 가진 슈퍼발효음식으로서 세계 최고인 ‘천년의 맛, 김치’를 대표 주간지「RDA Interrobang」제 41호에서 집중 분석했다.
김치는, 지역마다, 철마다, 또 특별한 의미를 담아 다양하게 변신하며, 그 종류만 300가지 이상이 존재한다.
기후와 지형 등에 따라 김치는 팔도팔색(八道八色)의 다채로운 맛과 종류의 김치가 있으며, 계절마다 구할 수 있는 제철 채소로 만든 계절별 김치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지역과 집안마다 저마다의 비법으로 담가지기 때문에 유서 깊은 종가들엔 독특한 비법으로 만든 특별한 김치가 전해오며, 김치를 담그고 먹는 일도 수행이라 여기는 사찰에서는 마늘, 파, 부추 등 오신채(五辛菜)를 사용하지 않는 특별한 김치도 존재한다.
우리의 얼이 담긴 김치는 김치 생산 자체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들어 문화와 전통이 결합된 복합 산업으로 펼쳐지고 있다.
김치에 들어가는 수많은 재료들의 생산 등 김치의 후방관련 산업은 그 생산액만 3.3조원이 넘고, 주로 배추김치로 형성된 김치 생산은 약 2.3조원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공장김치의 경우는 대기업의 시장 주도력이 증가하고 있다.
전방관련 산업으로는 소비자 요구에 맞춘 다양한 포장 김치가 등장하고 김치냉장고가 1.1조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정성과 기다림, 자연을 상징하는 김치는 여러 문화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우리만의 김장문화는 관광산업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김치의 영양 기능성과 김치유산균을 활용하여 여러 기능성 제품이 개발되고, 부식뿐만 아니라 새로운 요리의 식재료로서 김치는 39조원의 외식산업 시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제는 김치를 식품산업의 일부에서 종합적 산업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RDA Interrobang」제41호는 김치산업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간과되어 왔던 김치에 대한 문화적 재평가를 통해 발굴된 가치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적극적으로 김치산업을 육성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김치 후방산업의 지역특화 산업을 지정하고, 새로운 전방산업 창출, 내실과 외연 확대를 위한 양수겸장의 제도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의 슈퍼푸드이자 300가지 얼굴을 가진 ‘김치’ 관련 산업을 「RDA Interrobang」제41호에서 한 눈에 들여다 볼 수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