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생물자원의 중요성을 알리고, 일반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10년 4월 자생생물 102종의 정보에 대한 시범 구축을 시작으로, 이번에는 초.중.고 교과서 수록 종 및 네티즌 인기 검색 종 577종을 포함한 5천여종에 대한 자생생물 정보를 구축하고, '11년 4월 21일부터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을 통해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되는 생물자원 5천여종에 대한 정보제공 서비스는 우리 아이들과 우리생물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공유하기 위해 교과서에 수록된 외래종을 제외한 우리나라 자생생물 및 네티즌 인기 검색 종 577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1,534종,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 등 일반국민의 관심도가 높은 자생생물을 중심으로 제공되며,
다양한 생물사진과 생물특징, 분류정보, 분포정보 등 정보 제공 뿐만 아니라 내가 알고 있는 생물정보.사진 등을 직접 등록할 수 있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생물 자원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문가 및 일반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웹 2.0 기반의 위키피디아와 유사한 형식으로 구현하였다.
외부 사용자가 등록한 생물자원 정보는 내부 분류전문가의 검증을 거친 후 서비스가 제공 된다.
또한, 이 사이트에서는 한반도 자생생물에 대한 분류정보, 형태특징, 생태특징, 원기재문, 문헌, 사진, 그림, 표본정보 분포도 등 16개 콘텐츠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종 정보뿐만 아니라 상위 분류군에 대한 특징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향후, 유용 생물자원 전통지식 DB, 한국 자생생물 소리은행 DB, 유전정보 DB 등 환경부내 각종 생물자원 DB와 연계하여 자생생물에 대한 종합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반도 자생생물 3만 7천여종에 대한 포털 구축이 완료되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생물이 얼마나 되는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생물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법적으로 보호?관리해야 하는 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 생물자원에 대한 궁금증을 쉽게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가 알고 있는 생물자원에 관한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양방향 생물자원 정보 공유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대국민 서비스 본격 개시를 기념하여 4.21부터 9월까지 웹 사이트 방문자를 대상으로 단계별 고객 참여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1단계로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의 오류 찾기, 개선 및 불편사항에 대한 “고객의 소리”, 2단계로 “생물자원 퀴즈대회” 등 9월까지 단계별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며, 참여자에게는 추첨을 통하여 푸짐한 경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