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 해양수온 변화 1.5배...명태 등 한류성 어종 감소
동해의 수온이 연평균 0.06℃씩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지구 해양의 수온이 연평균 0.04℃씩 상승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수온 상승 정도가 1.5배가량 빠른 것이다. 이 같은 수온 상승은 바다속 생태계에 지각 변화를 일으켜 난류성 어종은 늘고, 한류성 어종은 줄어드는 등의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한국해양연구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해수순환과 중장기 변동 반응 및 예측 연구’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이재학 책임연구원은 “동해 해수면의 평균 수온은 1985년 이후 연평균 0.06℃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은 1993년 이후 연평균 6.4㎜ 올라갔다”면서 “이는 최근 20년간 전 지구 해양의 연평균 수온 상승률 0.04℃와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 3.1㎜보다 1.5∼2배 빠르다”고 밝혔다.이 같은 결과는 일본기상청의 1891∼2005년 해수면 온도자료, 192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해양 데이터베이스, 1992년 이후 인공위성 고도계자료 등을 분석해서 얻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이 책임연구원은 “동해의 표면과 심층의 수온이 상승하면 해양생태계에 변화를 가져와, 찬 물을 좋아해 그동안 많이 잡혔던 명태·꽁치·정어리 등은 잘 안 잡히고,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오징어나 멸치가 많이 잡히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양식을 통해 만들어지는 김의 경우 겨울철에는 차가운 물에서 자라는 데, 수온이 계속 올라갈 경우 더 이상 양식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