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기후변화위 보고서...물 부족·곡물 30% 감소
아시아 국가들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물 부족, 전염병, 굶주림, 홍수 등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측됐다.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가 오는 6일 발표할 기후변화가 지구생태계에 미칠 충격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아시아의 많은 지역들이 기후변화의 어떤 시나리오에 의해서도 최대 피해를 입을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 초안을 입수한 AFP 통신이 전했다.1400쪽 분량의 보고서는 아시아 주민 10억 명 이상이 2050년까지 인구증가에 의해 더 악화될 것이 분명한 물 부족 사태로 신음할 것이 90% 확실하다고 내다봤다. 동남아시아에선 2050년까지 가뭄으로 인해 곡물 생산이 최대 3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한국이 속한 동아시아도 온난화로 태풍 발생이 늘어나고 폭우의 빈도 역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빙하 녹아 범람피해 속출또 히말라야의 빙하가 녹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범람의 피해가 중국의 양쯔, 황허, 주장 삼각주를 비롯해 베트남 북부의 홍강 삼각주, 방글라데시의 갠지스-브라마푸트라 삼각주 등에 집중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들 대규모 삼각주 지역엔 무려 3억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중국의 대표적 경제발전 지역인 주장 삼각주의 경우 해수면이 65㎝ 오를 경우 그 범람으로 인한 피해가 무려 5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남아시아에선 해수 온도가 오르면서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이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 남부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의 강에 물을 공급하는 히말라야 빙하는 지구온도가 3℃ 상승하면 완전히 사라지는 운명에 처해진다. 중앙아시아의 빙하지역도 현재의 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5분의 4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됐다.IPCC는 이번 보고서에서 아시아 지역 이외에도 남유럽, 미국 남부, 중남미, 아프리카 등 기존 더웠던 지역들은 가뭄으로 경작지가 축소되고 동·식물 질병은 물론 말라리아나 뎅기열 등 지구가 더워지면서 생기는 열대성 질병이 확산,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대기후지역 곡물생산 늘어반면 북아메리카, 북유럽, 러시아 등 한대기후에 속한 지역들은 곡물 생산이 늘어나고 석유 등 지하자원 채굴이 쉬어지며 매력적인 관광지로 변모하는 등 혜택을 볼 것으로 지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