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 기후가 아열대로 변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생태계가 크게 위협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실제로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기상이변으로 피해가 급증하고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신·재생 에너지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칠 정도로 낮아 국가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삼성경제연구소는 21일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보고서에서 “1960년 이후 지구촌의 평균온도가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기후가 크게 변하면서 지구촌 전체가 기상이변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기후도 아열대로 변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생태계가 크게 위협받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연구소는 “실제로 우리나라의 태풍,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에 따른 경제적 피해는 1960년대 매년 평균 1000억원 대에서 1990년대 6000억원대, 2000년 이후에는 2조7000억원대로 확대됐다”고 밝혔다.◆국내 기후변화 대책 미흡연구소는 “태풍 등 기상이변의 빈도가 증가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 기온이 상승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의 여름철 호우재해의 발생빈도는 1940∼70년대 연평균 5.3회에서 1980∼1999년 연평균 8.8회 이상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연합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기후 변화에 이미 발 빠르게 대응해 종합적인 대책을 시행 중”이라며 “우리나라도 1999년부터 3년 단위로 기후변화 종합대책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기후변화협상과 관련한 대책으로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종합대책으로는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