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지역난방공사, 23일 전남도 등과 신․재생에너지분야 투자협약 체결-
300억원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 건립과 함께 볏짚 가스화 등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는 바이오 에너지사업과 도내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체계적인 자원조사 및 관련 시범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23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박준영 도지사, 고길호 신안군수, 김영남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신재생에너지분야에 대한 ‘도,신안군과 한국지역난방공사 간 투자협약식’을 가졌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태양광발전사업으로 우선 300억원 규모의 3MW급 태양광발전시설을 신안군에 설치키로 했고 이 시설을 전남도의 이미지에 부합하는 환경친화적인 시설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또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신.재생 에너지파크 조성에도 관심을 표명하면서 우선 올해 안으로 이에 따른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 에너지 파크는 태양광․풍력 등 발전시설, 신.재생에너지 전시 및 홍보관, 발전사업자가 입주하는 종합 에너지 타운 조성 등이 시설되는 것으로 구상되고 있다. 아울러 도와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바이오 에너지(Bio Energy)분야에서도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농촌지역 신.재생에너지 활용 모델을 개발해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볏짚 및 축산분뇨의 가스화 등에 대한 연구 및 실증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풍력자원을 포함한 도내 신.재생에너지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자원조사 및 관련 시범 사업도 벌여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약 체결은 도와 신안군, 한국지역난방공사가 2년 이상 협력한 노력의 결실로 전남이 향후 신.재생에너지의 메카로서 부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게다가 향후 기후변화협약 발효에 따른 CO2 배출권 확보를 위해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전남지역에 대규모 에너지 발전사들의 투자도 잇따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기존의 투자가 소규모 개인사업자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지역경제발전에 기여한 부분이 다소 미흡했다”며 “이 같은 대형 발전사의 투자를 통해 테마파크 조성 등 관광 및 지역 인력의 채용 등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향후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남도와 신안군은 지난 2월 미국 코어그룹과 협약해 17MW급 세계 최대 태양광발전소 건설(1억5천만불)을 추진 중에 있다. 또 국내 동국산업그룹과 협약해 풍력발전 타당성조사를 마치고 12MW급 시범실증 발전소 건설(240억)을 추진하고 있는데, 앞으로 실증발전소 건설을 토대로 신안군 지역에 총 200MW급 대규모 풍력발전소 건설(5000억)이 국제공모를 통해 추진될 계획으로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