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출범이후 임용된 고위 공직자 73명의 등록 재산이 오늘(7일) 공개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 3월 이후 임명된 고위 공무원단 "나"급 이상의 공직자와 장.차관급 정무직 직원 등 73명의 재산을 공개하고 관보에 올렸다고 밝혔다.청와대 비서관들의 경우 김은혜 부대변인 1비서관이 97억 3천만 원을 등록해 재산이 가장 많았고,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 59억 3천만 원, 강훈 법무비서관 47억 5천만 원, 김백준 총무비서관은 21억 2천만 원을 등록했다.청와대 비서관 34명의 평균 재산가액은 17억 9천만 원으로 지난달 24일 공개된 청와대 수석비서관 평균 재산 35억 5천만원의 절반가량이었다. 공개 대상 공직자 73명 전체의 평균 재산 가액도 17억 6천만 원이다.청와대 비서관 34명의 60%에 이르는 20명을 포함해 전체 73명 가운데 절반은 서울 강남구와 경기도 분당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에 부동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또 청와대 비서관 4명은 10억 이상의 예금을 갖고 있었으며, 김휴종 문화예술비서관은 천 백여 만원 상당의 금이 있다고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이번 재산 공개에서 청와대 비서관 가운데 38%인 13명을 포함해 전체의 30% 에 이르는 21명이 부모나 자녀 등의 재산 공개를 거부해 고지 거부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이 밖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72억 4천만 원을 등록해 전체 재산 공개자 중 재산가액이 두 번째로 많았고, 이성구 공정거래위원회 규제개혁추진단장은 62억 5천만 원을 등록했다.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등록된 재산내역을 오는 7월말 까지 심사해 허위,누락 등 불성실 등록 사실이 발견되면 경고나 해임, 징계요구 등의 조처를 취하게 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