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중한 수문이 열리고, 초당 3.5톤에 이르는 물이 8백 미터 길이의 하천 실험장으로 쏟아진다.
실제 하천과 유사하게 굽이굽이 흘러가는 물.
홍수 상황처럼 유량이 늘어나자, 월류보를 넘은 물들이 미리 조성해 놓은 완충 녹지인 저류지를 가득 채운다.
상류에서 내려온 물이 저류지로 분산되면 하류의 수위가 내려가는 효과가 나타난다.
실제 측정 결과, 전체 유량의 20%가 분산돼 하류의 홍수 위험도를 크게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에서 처음 진행된 홍수 자연기반해법 실증 실험.
낙동강 지류인 황강에 자연기반해법을 적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도 하류 수위가 최대 1미터가량 내려가는 홍수 방지 효과를 거뒀다.
자연기반해법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데다, 저류지에 심어진 나무가 온실가스를 흡수하고 토양 유실을 줄이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환경부는 내년 말까지 실험을 반복해 관련 데이터를 축적할 계획이다.
또, 연구가 마무리되는 대로 생태 가치가 높은 하천을 대상으로 자연기반해법 도입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