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대대적 개편을 예고했습니다. 오늘(23일) 오후부터 일부 기능은 카카오톡 업데이트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오늘 경기 용인시 카카오 AI(인공지능) 캠퍼스에서 개발자 대회 '이프 카카오 25' 콘퍼런스를 열고, 하반기 예정된 카카오톡 개편 방향을 공개했다.
우선, 사진 한 장만 보이던 카카오톡 '프로필' 화면은 인스타그램 같은 일상 공유 SNS처럼 여러 장의 사진을 한 번에 띄울 수 있게 된다.
다만 직장 동료나 상사 등에게는 보이지 않도록, 게시물 공개 범위를 친구·친한 친구·비공개 등으로 각각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친구', '취미', '회사' 등 채팅방 성격에 맞게 직접 설정한 폴더 안에 대화방을 분류한 뒤, 채팅 탭 상단에서 폴더별로 열어 확인할 수 있다.
최대 10개까지 폴더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한 폴더 안에는 최대 100개까지 채팅방을 담을 수 있다.
또 지난달 메시지 삭제 기능을 5분에서 24시간으로 연장한 데 이어, 메시지 수정 기능도 도입됐다.
또, 다음 달부터는 채팅 탭에 챗GPT가 추가돼, 챗GPT 앱을 따로 켜지 않아도 카카오톡 안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채팅 탭 우측에 탑재되는 챗GPT는 오픈AI 최신 모델 GPT-5로, 챗GPT에서 제공 중인 검색과 이미지와 파일 업로드, 이미지 생성 기능을 카카오톡에서도 똑같이 쓸 수 있다.
특히, 챗GPT와 카카오 서비스를 연결하는 '카카오 에이전트'도 도입되는데, "드라이브 때 듣기 좋은 노래를 알려줘"라고 챗GPT에 말하면 음악 스트리밍 앱인 '멜론'이 음악을 재생해 주는 방식.
이용자의 카톡 대화 등 개인 정보를 카카오가 들여다보거나 AI 학습에 사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정 대표는 "카카오톡 데이터는 챗GPT 학습에 이용되지 않고, 서버에 따로 저장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