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공지능(AI) 정책의 사령탑 역할을 할 국가AI전략위원회가 오늘(8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AI 3대 강국(G3) 도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추진 방향도 제시됐다.
국가AI전략위는 이재명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임문영 상근 부위원장을 포함한 민간 위원 34명과 주요 부처 장관급 13명, 대통령실 2명 등 50명으로 구성됐다.
오늘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전략위 첫 회의에서는 1호 안건으로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추진 방향이 보고됐다.
액션플랜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AI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 AI 기반 대전환, 글로벌 AI 기본 사회 기여를 3대 정책 축으로 12대 전략 분야로 구성됐다.
국가AI전략위는 각 부처의 세부 이행과제를 망라한 대한민국 AI 액션플랜의 내용을 11월까지 정리해 발표할 계획.
위원회 2호 안건으로는 2차례 유찰을 겪은 국가 AI 컴퓨팅 센터 재추진 방안이 보고됐다.
민간 지분 구조를 49%에서 70% 이상으로 끌어올려 민간에 주도권을 줬고, 정부가 원할 때 정부 투자분을 민간이 인수하도록 해 독소 조항으로 꼽혔던 매수 청구권도 삭제됐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2028년까지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만 5천 장 이상, 2030년까지 5만 장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1월 시행을 앞둔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AI 기본법) 하위 법령 제정 방향도 함께 보고됐다.
위원회는 각 부처 차관급 공무원을 ‘인공지능 책임관’으로 정해 국가인공지능 책임관협의회를 운영하고,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이 협의회 의장을 맡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