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픽사베이 비만치료제 ‘위고비’와 ‘마운자로’가 다이어트 목적으로 정상 체중자에게까지 남용되고 있다.
두 약물 모두 고도비만이나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만 처방 가능한 전문의약품이다.
그러나 일부 병원에서는 상담 없이 BMI 수치를 허위로 입력하거나 환자 요구대로 약을 처방하고 있다.
경향신문이 방문한 병원 중 한 곳은 환자의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지 않고 BMI를 계산했다.
또 다른 병원에서는 BMI를 속이자 문제없이 약이 처방됐고, 복약지도도 형식적이었다.
이 같은 ‘처방 공장식’ 병원은 강남·종로 등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실정이다.
약국가에서는 위고비·마운자로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으며, SNS에 실시간 재고 정보까지 공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작용 위험과 약물 오남용으로 인한 부정적 인식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필요한 환자들이 약을 구하지 못하는 역차별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기 치료제가 될 수 있는 약물인 만큼, 충분한 상담과 정확한 사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