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끝자락에 태어나, 전례 없는 폭력과 유토피아적 희망이 공존하던 시대를 통과하며 철학적 사유와 예술적 실험을 전개해나갔던 발터 벤야민(1892~1940)과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1898~1948). 두 사람의 사유와 창작을 대질시켜 읽는 『비교의 산파술』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에이젠슈테인과 벤야민은, 이미 잘 알려진 공통의 탐구 대상인 ‘영화’를 필두로 다수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공유했고, 연결고리가 될 만한 공통의 지인들도 존재했지만, 두 사람이 생전에 만난 적이 있다거나 서로의 작업을 참조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 책은 두 사람을 사로잡았던 다양한 문제의식을 집약하는 세 가지 상징인 ‘유리 집’ ‘미키마우스(디즈니)’ ‘찰리 채플린’을 중심으로, 이들의 궤적이 흥미롭게 교차하고 갈라지는 양상을 파헤쳐나간다.
저자가 시도한 이러한 비교학적 독법은 각 인물을 따로 분석하는 방식보다 그들의 사유와 창작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준다. 두 사람의 모습이 상대에게 부딪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따라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그들의 낯설고 새로운 얼굴을 만나게 된다. 나아가 면밀한 분석과 과감한 추론을 통해, 일견 사소해 보이는 저 테마가 두 사람의 지엽적인 관심사에 불과했던 것이 아니라, 지난 세기 누구보다 명민했던 두 지성의 레이더가 포착한 20세기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이어지며, 그 아래에 흐르고 있는 더 깊고 광대한 지층과 광맥들의 존재를 증언해주는 것이었음을 이해하게 된다.
문화기호학의 창시자 유리 로트만을 다룬 『사유하는 구조』에서 출발해, 벤야민의 모스크바 방문 기록을 경유해 벤야민의 사유에 새겨진 소비에트 아방가르드의 흔적을 추적한 『혁명의 넝마주이』에 이르기까지,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 폭넓은 학문적 스펙트럼과 깊이를 보여주며 꾸준히 독자층을 확장해온 김수환 교수의 네번째 저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