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축제관광재단, 국내 최대 마이스 산업 전문 전시회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 참가
                                보령축제관광재단은 2025년 11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규모 마이스 산업 전문 전시회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에 참가하여 홍보마케팅을 추진했다.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는 전시부스 홍보, 비즈니스 상담, 컨퍼런스 및 설명회, 네트워킹 리셉션, 팸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
                            
                        
▲  사진=출판유통통합전산망 우리에게 서양사는 언제나 단일하고도 선형적인 이야기였다. 고대 그리스에서 로마를 거쳐 르네상스, 계몽주의, 산업 혁명과 민주주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줄기. 이 연대기는 곧 문명의 기준이 되었고, 〈서양〉이라는 이름은 진보와 합리성, 보편의 가치를 상징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 이야기를 의심하지 않았고 그렇게 서양 문명사는 아무런 비판 없이 우리 혹은 모두의 주요한 상식이 되었다. 
고고학자이자 역사학자인 니샤 맥 스위니는 이러한 일련의 흐름에 대해서 의문을 품고 있었다. 그는 서양 세계의 소속원으로 있지만 여성이자, 혼혈인으로 주류에서 벗어난 다른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시선으로 〈서양〉이라는 개념을 집요하게 추적했고 그 결과 기존의 상식을 깨는 진실에 닿을 수 있었다. 16세기 후반에서 시작된 〈우리와 그들〉(서양과 비서양)의 구도는 18세기에 정착되었고, 그 과정에서 서양이라는 이름은 점차 하나의 권위로 정착했다는 것. 하지만 그렇게까지 되기 위해 시대와 정치적 필요에 따라 재구성되고, 해석되고, 반복해서 설명되었다. 다시 말해, 우리가 당연히 서양이라 여겨 온 것들은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구성의 과정을 파헤친다. 서양 문명이라는 서사는 실제로는 다양한 전통과 문화를 배제하고, 선택적으로 취사해 만들어졌다. 그 배제의 역사, 권력의 역사, 해석의 역사가 바로 〈진짜 서양사〉다. 『만들어진 서양』은 우리가 알고 있던 익숙한 서양사의 외피를 걷어 내고, 그 안에 감춰진 민낯의 역사를 보여 준다. 지금껏 문명사라 불리며 아무 의심 없이 받아들여졌던 그 구조를 처음부터 다시 묻는 책, 이 책은 단지 서양을 다룬 책이 아니다. 서양이라는 개념 그 자체를 해부하고 다시 쌓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