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생면·온양읍, 새울본부 후원 에너지 취약계층 나눔행사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 서생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혁관, 김형수)와 온양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서천천, 최성기)가 5일 새울원자력본부(본부장 소유섭)의 후원을 받아 에너지 취약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한 ‘소쿨소핫(So cool So Hot) 나눔행사를 진행했다.이번 사업은 지난 여름 여름철 서큘레이터 지...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학생 신상정보가 담긴 전북대의 통합정보시스템.
지난해 7월 해킹을 당한 이 학교에서 32만 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해커는 먼저 학번을 노렸다.
보안 수준이 낮아 단순한 해커 공격에도 쉽게 학번을 빼낼 수 있었다는 게 당국 조사 결과다.
빼돌린 학번으론 본격적인 해킹을 시작했다.
해킹 명령어를 통해 내부 시스템에 접속한 뒤, 학번을 바꿔가며 다른 학생 정보까지 들여다본 것이다.
학번과 해킹용 코드를 활용하면, 비밀번호 인증 없이도 개인정보를 볼 수 있는 이른바 '파라미터 변조 공격'이다.
한 사람에 많게는 70개가 넘는 정보가 유출됐고, 그 안에는 이름과 주민번호, 주소는 물론, 학교 성적도 포함됐다.
두 달 뒤 이화여대도 비슷한 수법으로 해킹을 당했고, 8만 3천여 명의 개인정보가 빠져나갔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두 학교의 학사 정보시스템이 구축 당시부터 취약했고, 사후관리도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개인정보위는 전북대와 이화여대에 6억 원과 3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