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 편중, 호남.충청 '홀대' 인사 '비판'
이명박 정부가 일부 장관 후보의 도덕성 시비 내지 위법 의혹으로 '조각(組閣) 파동'에 이어새정부 초대 내각과 청와대 수석비서관의 인선결과 지역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비판에 휩싸이고 있다. 인선결과 역대 정부에 비해 영남출신과 호남 및 충청 출신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관 후보 내정자들의 출신지역 중 특히 '영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선과 더불어 '영남편중, 충청.전라 홀대'인사라는 비판이 고개를 들고 있다. 현재 장관 내정자의 출신지역을 살펴보면,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경남), 김경한 법무부 장관(경북),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경북), 이영희 노동부 장관(경북) 등 5명이 '영남'출신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유명환 외교통일부 장관(서울), 이상희 국방부 장관(강원), 유인촌 문화부 장관(서울), 김도연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서울), 이윤호 산업자원부 장관(대전),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충남), 정운천 농수산식품부 장관(전북), 김성이 보건복지여성부 장관(신의주) 등 수도권 3명, 충청 2명, 호남 1명, 강원 1명, 평북 1명의 출신지역 분포를 나타냈다.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선 당시 호남.충청 인사가 배제된 것과 달리, 내각 후보에는 호남.충청 인사가 3명이나 포함됐지만 여전히 내각의 40% 정도는 영남 출신이다. 앞서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선에서는 이주호(경북 칠곡).곽승준(대구 달성), 박재완(경남 마산).이종찬(경남 고성) 내정자 등이 경상도 출신으로 절반 이상이 영남으로 채워졌다. 서울 출신인 김병국, 김중수, 박미석 수석을 제외하면 충청과 호남은 한 명도 발탁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이 때문에 차기 정권이 출범하기도 전에 각종 인사에서 지나치게 영남 출신을 배려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인수위원 인선에 이어 청와대 수석 비서관 인선에서까지 '영남-고려대'편중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되자 "(내각 인선에서는) 이 대통령이 국민 통합적 요소를 고려하겠다고 밝힌 만큼 전체 인선 과정은 균형을 이룰 것"이라며 지역안배 방침을 천명했다. 하지만 청와대 수석비서관에 호남 출신이 한명도 없는 데다 내각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농수산식품부' 장관 후보가 유일한 호남출신으로 알려져 '호남홀대'논란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이 당선인 측은 이러한 특정 지역 편중 현상을 '인재풀 부족'의 한계로 규정하며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익명의 핵심 관계자는 "한나라당이 본래 영남을 기반으로 한데다 지난 10년간 야당 시절을 거치며 인재풀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수석비서관이나 내각처럼 10명 안팎을 인선하는데 지역 편중이라니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의 모교인 고려대의 이기수 총장과 손병두 서강대 총장은 지난26일 "이 대통령은 원대한 집권계획을 세우면서도 막상 구체적 실천을 위한 소프트웨어 측면을 너무 무시하고 있다"며 인사 실수를 솔직하게 시인하고 내각인선을 새롭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 총장은 "이번 내각인선을 보면서 이 대통령이 국민이 바라는 대통령이 되기에 부족한 게 아닌가 생각하게 됐다"면서 "인사가 이렇게 됐으니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변명하지 말고 솔직하게 베스트 오브 베스트를 뽑기 위해 다시 노력하겠다고 얘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 총장은 이명박 정부 초대내각 인사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것에 대해 "이명박 정부가 인재에 대한 충분한 검증 없이 인사를 한 게 문제"라면서 "실수를 솔직하게 시인하고 인사폭을 좀더 넓게 펼쳐놓고 검증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이 대통령은 '섬김의 정치'를 다짐했다. 하지만 그 섬김은 국민이 편한 섬김이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명박 정부가 진정으로 국민을 섬길 자세가 돼 있다면 적어도 지역안배는 기본이고, 장관이나 청와대 수석으로 중용하려는 사람에게 최소한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요구해야 마땅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