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KBS NEWS 영상 캡처갑자기 튀어나온 사람을 미처 피하지 못하고 들이받는다.
좌회전을 하던 차량이 행인을 그대로 친다.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 도로 위의 보행자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차량을 멈추는 장치, AEBS가 지난해부터 의무화됐다.
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은 그렇지 않은 차량에 비해 사망사고 발생이 30% 이상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이 장치의 성능에 따라 보행자 사고 예방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전·후방 뿐만 아니라 좌·우회전시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한 차량은 45개 유형 가운데 36개 유형에서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
반면 전·후방 보행자 감지 기능만 있는 차량은 23개 유형에서만 충돌을 피했다.
AEBS 성능이 고도화할수록 더 다양한 경우의 사고를 피할 수 있지만 차량마다 제각각이다.
비용 문제로 아예 AEBS가 없는 승용차의 비중도 여전히 74%에 이른다.
다만 전문가들은 AEBS는 사고 예방을 보조하는 장치로 안전거리 유지 등 방어 운전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