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공급 확대라는 본래 인가 취지와는 달리 인터넷은행들이 이자 수익을 쉽게 올릴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 영업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전월세 대출 포함) 잔액은 34조 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3조 4,000억 원)보다 약 11조 원, 47% 늘어난 것이다.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해 5월(19조 3,000억 원)까지만 하더라도 20조 원을 밑돌았으나 같은 해 말 26조 6,000억 원까지 늘어났고, 올해 2월 30조 5,000억 원을 기록하며 30조 원을 넘어섰다.
이는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주담대가 515조 원에서 568조 7,000억 원으로 10.4% 늘어난 것보다 훨씬 가파른 수준이다.
은행별로 보면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해 8월 4조 1,000억 원에서 올해 8월 7조 7,000억 원으로 87.8% 급증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19조 3,000억 원에서 24조 9,000억 원으로 29% 늘었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9월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이후 잔액이 올해 8월 1조 8,000억 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