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주택가, 추석 선물용 종이 상자가 겹겹이 쌓여 있고, 포장재로 사용됐던 천 가방과 스티로폼도 버려져 있다.
겉면이 코팅돼 있거나 테이프 같은 이물질이 붙어 있어 재활용기도 어렵다.
한 농산물 포장재 제작 업체는 이런 문제를 줄이기 위해 단면 코팅을 없앤 친환경 과일 상자를 개발했다.
과일들을 스티로폼 망 대신 골판지로 감싸고, 재생지로 만든 상자에 담았다.
투박한 생김새지만 분리 배출이 쉽고 외부 충격에도 끄떡없어 추석 선물 포장재로 인기다.
이 대형마트는 2년 전부터 종이로 만든 보냉 상자를 소고기 선물 세트 포장재로 사용 중이다.
벌집 모양의 종이 완충재가 열기 유입과 냉기 유출을 막아준다.
친환경 문화가 확산하면서 소비자들도 불필요한 포장을 줄인 실속형을 찾는 경향이 뚜렷하다.
지난해 추석 연휴 쓰레기 발생량은 전국적으로 19만 8천 톤, 2년 전보다 40% 이상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