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의원의 거액 가상자산 보유 논란이 불거진 이후, 국민권익위원회는 21대 국회의원 가상자산 보유 내역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의원들의 가상자산 누적 거래 규모가 6백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에 등록한 내역과 실제 내역이 일치 하지 않는 의원 10명도 확인됐다.
지난 9월 국민권익위원회는 '국회의원 가상자산 특별조사단'을 꾸렸다.
이에 앞선 5월 국회에서는 김남국 의원의 거액 가상자산 투자 논란이 불거졌다.
권익위가 석달 동안 국회의원 298명 전원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상자산 보유 내역이 있는 의원은 18명, 매수.매도 내역이 있는 의원은 11명이었다.
매수.매도 누적액은 각각 600억 원이 넘었는데 그 김남국의원의 액수가 각각 550억 원 이상이었다.
의원들이 국회에 자진 신고한 내역과 실제 내역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
자산 소유 현황을 등록하지 않은 의원 2명, 변동내역을 누락한 의원 2명, 소유.변동 내역을 등록하지 않은 의원 6명 모두 10명이었다.
권익위는 의원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의원들은 "이벤트로 지급받은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가상자산이 아닌 결제 수단으로 인식했다" 등으로 권익위에 해명한거로 전해졌다.
신고내역과 실제내역이 다른 의원들 중 3명은 가상자산과 관련이 있는 상임위에서 관련 입법사항 심의에 참여했지만
관련법에 저촉되는 이해충돌 문제는 없었다고 권익위는 밝혔다.
이번조사는 조사 대상이 의원 본인에게 한정됐고, 의원이 가상자산을 어떻게 제공 받았는지, 거래 상대방에 직무관련자가 있는지는 조사되지 못했다.
권익위는 조사 결과를 국회에 통보하고 의원들이 국회에 신고하는 가상자산의 금액 기준을 정하는 국회규칙을 마련하라고 국회에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