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일가가 사치품 소비를 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을 위한 북한의 사치품 수입 규모도 연간 최대 수십억 원에 달한다고 정부가 평가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19일) 기자들과 만나 ‘최근 북한의 경제·사회 특이 동향’을 설명하며, “(김 위원장 일가가) 집권 직후부터 최근까지 공개활동 시 고가의 옷·시계·펜·가방 등을 노출하고 있다”며 “일반 주민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사치품 소비를 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예로 김 위원장은 지난달 13일 북러 정상회담차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방문했을 당시 스위스제 고급 시계를 착용하고, 독일 유명 브랜드의 만년필을 사용하는 모습 등이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에도 그대로 보도됐다.
이어 이 당국자는 “평양의 서기실 또는 최고위층이 직접 (사치품을) 선정해 구입을 지시한다”며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친북 성향 국가나 유럽에 파견된 공관원·상사원들을 통해 사치품의 대북 반입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 사치품들은 대부분 화물선을 이용해 불법적으로 선적하는 등의 방식으로 북한에 반입되는데, 김 위원장 일가를 위한 사치품 규모만 연간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 상당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다음 달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제10차 러북 경제공동위원회와 관련해서는, 북한에 대한 식량 지원, 나진·하산 중심의 경제·물류 협력과 함께 북한 노동자의 러시아 파견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김 위원장 집권 뒤 양국 간 교역 규모가 줄어들었고, 러시아는 1990년대 이후 시장 자본주의에 어느 정도 적용해온 점 등을 고려할 때 양국 간 경제협력 확대는 제약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