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드론순찰대, ‘나눔:ON 페스타’서 시민과 함께 드론 안전 체험 부스 운영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드론순찰대(대장 임용근)가 지난 2025년 11월 7일 울산문화공원에서 열린 『프로젝트 나눔:ON 페스타』에 참여하여 시민들을 위한 드론 안전 체험 부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했습니다. 울산광역시자원봉사센터가 주최한 ‘따뜻한 나눔이 켜지는 순간’ 주제의 『프로젝트 나눔:ON 페스타』 참여 , "하늘에서 지...
▲ 사진=KBS NEWS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미국의 고강도 제재 속에 자체 개발한 반도체를 탑재한 새 스마트폰을 출시한 가운데, 중국 관영매체는 화웨이가 선보인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아직 미치진 못하지만 ‘5세대 이동통신(5G) 국산화’의 중대한 진전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 CCTV는 어제(5일) “가장 선진적인 기술과는 아직 큰 격차가 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면서도 “스마트폰에서 가장 핵심인 반도체, 특히 5G 반도체 부품 국산화를 실현할 수 있는 확실히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이라는 뤼팅제 중국우정전신대학 교수의 언급을 전했다.
화웨이가 지난달 29일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Mate)60 프로’를 발표한 뒤 캐나다의 반도체 컨설팅업체 ‘테크인사이트’는 메이트60 프로에 화웨이 자체 칩인 기린 9000S가 들어갔고,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 SMIC(중신궈지)의 7나노미터(㎚=10억분의 1m) 프로세서 기술이 이용됐다고 밝힌 바 있다.
테크인사이트는 메이트60 프로의 칩이 세계 최첨단 기술보다 2∼2.5단계 뒤처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뤼팅제 교수는 “2∼2.5단계는 선진 제조 공정의 5G 칩으로부터 3∼5년 격차가 있다는 의미”라며 “이 3∼5년은 서방 국가들이 그들의 기술 진보 속도에 맞춰 판단한 것으로, 우리는 종종 그 속도를 초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월가 투자은행(IB) 제프리스의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보고서에서 테크인사이트의 메이트60 프로 분석 결과가 미국 상무부 산업보안국의 조사를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이들은 미국 안에서 그간의 제재가 효과적이었는지에 관한 논쟁이 벌어질 수 있고, 하원이 중국을 겨냥해 준비 중인 경쟁 법안에 더 엄격한 기술 제재를 넣게 할 수도 있다며 “전반적으로 미중 기술 전쟁이 격화할 공산이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