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영철 전 노동당 대남비서를 최근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 복귀시킨 것을 계기로, 대남 사이버 공작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오늘(19일)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우리나라 총선이나 미국 대선, 대만 총통 선거 등을 앞두고 우리의 의식이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사이버상 영향력 공작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영철은 과거 7.7 디도스(DDos : 동시 접속 서버 마비) 공격, 농협 전산망 파괴, 3.20·6.25 사이버 공격 등을 주도한 인물”이라며 “내부 결속 및 국면 전환을 위해 ‘소프트웨어(S/W) 공급망 공격’ 등 사이버 도발로 사회 혼란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이 지난 8차 당 전원회의에서 정찰위성 재발사와 핵·미사일 역량 증강을 천명한 점을 언급하며,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정찰위성 개발 등 우주 및 방산 분야 정보 수집을 위해 주요국을 대상으로 첨단 기술 절취에 몰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어 지난해 북한이 해킹을 통해 7억 달러 상당의 가상자산을 탈취했는데 이는 ICBM 약 30개분의 발사 비용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국정원은 동맹국 및 민간 분야와 협력하고, 우방국과의 합동 보안 권고문 발표나 전 세계 보안업체·가상자산 거래소 등과의 공조를 통해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를 저지하는 등 공세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