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북한이 어제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했다고 공식 발표한 가운데,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오늘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추가 발사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규탄한 미국을 비난하며, 위성 발사를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오늘 담화를 내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북한의 자위권에 속한다며, 미국이 체질적인 대북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위성발사가 규탄받아야 한다면, 미국을 비롯해 수천 개의 위성을 쏘아올린 나라들이 모두 규탄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반도 상공에 숱한 정찰자산들을 채워 넣은 미국이 자신들의 위성 발사를 비판하는 것은 "적반하장이고 어불성설"이라고도 했다.
김 부부장은 특히 "확언하건데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 궤도에 정확히 진입해 임무 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며 추가 발사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미가 북한에 대화 복귀를 촉구한 데 대해선 "대화할 내용도 없고, 대화의 필요성도 느끼지 않는다"며 일축했다.
북한은 오늘 아침, 어제 실패했던 위성발사 장면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발사장소는 기존의 서해 위성발사장 모습과는 확연히 달라, 북한이 인근에 최근 조성한 새 발사장으로 추정된다.
탄두부가 몸체보다 얇아지는 미사일과는 달리, 발사체 윗부분이 몸체보다 두꺼운 뭉툭한 형태로, 탄두가 아닌 위성이 탑재된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사진들은 노동신문 등 대내 매체가 아닌 북한이 대외용으로 활용하는 매체에만 공개돼 그 의도에도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