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오늘 뉴욕증시에서 장중 1조 달러를 돌파했다.
엔비디아는 세계 시장에서 GPU, 즉 그래픽저장장치와 같은 고부가 반도체를 90% 이상 공급하고 있는 반도체 기업이다.
이 GPU가 챗GPT와 같은 이른바 '생성형AI' 기술에 필수품이 되면서, 이른바 'AI 열풍'의 최대 수혜 기업이 됐다는 평가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 들어서만 세배 가까이 치솟았다.
뉴욕증시에서 시총이 1조 달러를 넘는 기업은 지금까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알파벳(구글 모기업), 아마존 뿐이다.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한 반도체 기업은 엔비디아가 처음이다.
엔비디아는 어제 AI를 기반으로 한 슈퍼컴퓨터 등의 새 제품과 서비스도 대거 공개했다.
AI 개발 붐에 관련 기업들 몸값이 치솟고는 있지만, AI 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역시 커지고 있다.
국제 비영리단체인 AI안전센터는 성명을 통해, AI 기술은 인류의 실존을 위협할 수 있다며, 이 위험성을 낮추는 일은 전염병, 핵전쟁 문제처럼 우선시 돼야 한다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AI 기술 통제의 필요성을 주장한 이 성명에는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 등 IT 기업 경영자와 과학자 350여 명이 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