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학생, 상담자 부문 우수상 동시 수상…학생 맞춤형 심리 정서 지원 효과 확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제14회 위 프로그램 사업(프로젝트)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울산지역 학생과 상담자가 여러 부문에서 수상하며 상담 지원 체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21일 경기도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주관하고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
▲ 사진=한국교육개발원한국교육개발원(원장 류방란)이 ‘2022 한국교육종단연구’(연구 책임자 남궁지영)를 통해 2013년 당시 초등학교 5학년이었던 학생 7324명을 추적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해 초·중·고등학교 시기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성(부모-친구-교사-다문화 친구·이웃과 관계) 발달 양상을 분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초·중·고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성 발달 유형은 어떠한가
모든 학교급에서 4개의 유사한 사회적 관계성 발달 유형(높은 수준, 평균 수준, 보통 수준, 낮은 수준)이 도출됐다. ‘평균 수준’은 전체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며, ‘보통 수준’은 전체 평균보다는 낮지만 리커트 5점 척도 가운데 3점에 근접한 수준이다.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시기에는 ‘교사’와의 관계에서, 중·고등학교 시기에는 ‘친구’와의 관계에서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또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점 사이에 사회적 관계성 발달 양상이 교사에서 친구와 관계를 중심으로 변화한 뒤 중·고등학교 시기에는 유사한 발달 유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수준의 사회적 관계성 발달 집단에 속한 학생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구성원과 형성하는 사회적 관계의 수준이 전체 평균에 수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학교급 변화에 따라 사회적 관계성 집단은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대다수 학생은 평균 수준의 사회적 관계성 집단에 높은 비율로 전이됐다. 낮은 수준을 보였던 학생들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 관계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 시기에 ‘높은 수준’의 사회적 관계성을 형성하는 학생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내용을 토대로 연구진은 위 같은 발달 양상에 주목하고 최근 사회적 환경의 변화(디지털 전환 및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언택트 문화 확산)는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성 발달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학생들이 초등학교 시기에 형성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관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보호 요인 강화 △사회적 관계성 취약 학생에 대한 지원 정책 강화 △학교급별 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학교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