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연재 울산명예사회복지공무원 동구단장, 지역아동센터 초등 졸업선물 지원 성금 375만 원 전달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하연재 울산명예사회복지공무원 동구단장은 11월 24일 동구청을 방문해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졸업선물 지원을 위해 성금 375만 원을 동구청장에게 전달했다.
이번 후원금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들의 졸업을 축하하고 격려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으며, 동구는 전달된 성금을 통해 각 기관에 필요...
▲ 사진=충남연구원충남연구원이 광역지자체 간 경계지역의 축사 입지 갈등 조정을 위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제안은 지난해 충남도가 시군 간 경계지역 축사 입지 갈등 문제를 선도적으로 해결한 가운데 인근 광역 지자체 간 경계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공갈등 해결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필요에 따라 이뤄졌다.
충남연구원에 따르면, 충남도 내 주요 축사는 소(1만2477개소), 돼지(1446개소), 닭(1066개소) 등의 순으로 많다. 특히 축사는 대부분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어 환경질 관리가 쉽지 않다.
충남연구원은 지자체별 축사 입지 현황과 지형적 특성 등 여러 요인들로 지자체 간 경계 지역 축사 입지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장창석 충남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충남 시군 경계지역 축사 입지 갈등의 협력적 해결’을 주제로 발표한 정책현장리포트에서 “자치단체 간 경계지역에서 발생하는 갈등 문제는 이해관계가 상충되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행정 구역을 넘어서기 때문에 갈등 해결이 더 어렵다”며 “지난해 충남도 내 15개 시군이 가축 사육 제한 구역 지형 도면을 통일된 기준으로 적용하면서 시군 간 경계지역 축사 입지에 따른 환경 피해 및 주민 간 갈등을 제도적으로 예방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성과를 통해 지난해 말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숙의기반 주민참여 및 협력 분쟁 해결 우수사례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장 연구원은 “충남도와 15개 시군의 협력적 해결 성과는 공공갈등의 사전 예방에 있다”며 “충남도 시군의 사례를 바탕으로 이제는 인근 광역시도(경기, 대전, 세종, 충북, 전북 등) 간 경계지역 가축 사육 제한을 위한 제도적 개선을 모색할 단계”라고 제안했다.
이어 “최근 지자체 간 경계지역에 들어서는 비선호 시설은 축사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 시설, 축산 분뇨 처리 시설 등 매우 다양하다”며 “경계지역의 주민 피해나 갈등이 발생할 소지가 큰 만큼 비선호 시설 입지 관련 공공갈등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