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김완근 제주시장, 도의회 지적 현안 직접 점검… 시민 불편 해소 ‘속도’
김완근 제주시장이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현안을 직접 챙기며 시민 생활 불편 해소에 속도를 내고 있다.24일 김 시장은 제443회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된 안전·복지·교통 분야 주요 현장 4곳을 방문해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현장 행보는 정책 질의 과정에서 드러난 생활밀착형 문제를 신속히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
▲ 사진=픽사베이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중국에 구금된 탈북민 1,500명이 재송환 위험에 처해 있다며, 중국과 러시아에 탈북민 강제송환 금지를 촉구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보고관이 오는 21일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할 보고서에서 유엔 회원국들, 특히 중국과 러시아를 지목하며 강제송환 금지 원칙(농 르플르망,non-refoulement)을 강조했다고 오늘(18일) 보도했다.
'농 르플르망' 원칙은 난민을 박해할 것이 분명한 나라에 강제로 돌려보내서는 안 된다는 국제법상의 규칙을 말한다.
킨타나 보고관은 탈북민이 강제 북송되면 심각한 인권침해 위험에 처할 것이라며, 강제 북송을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
이어 탈북민 1,500명 가량이 중국에 불법 이민자로 구금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중 간 국경이 다시 열리면 이들이 본국으로 송환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탈북민이 난민이 아니라 불법 이민자이므로 강제송환 금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킨타나 보고관은 또 북한 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와 유엔 회원국들의 정치적 의지가 지속적으로 결여돼 있다면서, 북한 비핵화와 신뢰 구축에 대한 논의 후 인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과거의 접근 방식은 효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임기 6년을 채운 킨타나 보고관은 이 보고서를 마지막으로 오는 8월 물러나며 그의 후임을 공모하는 절차가 진행 중이다.
아울러 자신의 임기 중 북한의 몇몇 노동당원과 대화할 기회가 단 한 차례밖에 없었다며, 오는 7월 임기가 끝나기 전 북한 측과 인권 문제에 대한 건설적인 대화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