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서해안 최고의 ‘황금어장’ 조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태안군이 수산자원 회복이라는 결실을 거두고 있다.
군에 따르면, 관내 3개 수협(서산수협, 안면도수협, 태안남부수협)에서 위판된 수산물은 △2018년 5932톤 △2019년 7708톤 △2020년 8508톤 △2021년 1만 271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증가세는 올해까지도 이어져, 올해 1월 위판량이 꽃게는 지난해 같은 기간 35톤에서 올해 114톤으로, 주꾸미는 9.2톤에서 9.6톤으로, 간자미의 경우 3톤에서 17.01톤으로 눈에 띄는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위판량 증가는 군이 지속적으로 추진 중인 수산종자 매입·방류 사업의 결과로, 군은 어업 생산성을 높여 지역 어업인들의 소득을 늘리기 위해 매년 수산종자 매입·방류에 나서고 있으며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총 40억 5천만 원을 투입해 1억 1841만 마리의 수산종자를 방류한 바 있다.
특히, 바다로 둘러싸인 태안군의 지리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고 어민들이 참여하는 간담회 개최를 통해 방류 어종을 선정하는 등 군민의 입장을 적극 반영한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군은 올해도 수산자원의 회복과 어업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총 14억 원을 투입, 관내 연안해역 일원에 △문치가자미 △감성돔 △조피볼락 △대하 △넙치 △참돔 △꽃게 등 7개 품종의 수산종자를 방류한다.
한편, 태안군은 군 대표 어종인 꽃게의 산란·서식장을 조성키로 하는 등 앞으로도 중·장기적인 플랜을 구축해 다각적인 수산자원 회복 노력에 나설 예정이다.
지난 1월 해양수산부 주관 ‘2022년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사업 신규 조성지 공모’에 선정돼 국비 25억 원을 확보한 태안군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50억 원을 투입해 근흥~남면 해역에 산란·서식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조성이 마무리되면 태안 해역에 특화된 수산품종의 전략적 육성이 가능해져 수산 자원량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며, 고부가가치 품종의 안정적 공급으로 어업소득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군 관계자는 “태안군이 가진 천혜의 환경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수산자원의 증가에 힘써온 결과 눈에 띄는 성과를 내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어업인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