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픽사베이지난해 기상 여건이 양호해 북한의 벼 재배면적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오늘(25일) 발표한 '2021년 북한 벼 재배면적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북한 벼 재배면적은 54만 4,006헥타르(ha)로 1년 전보다 3,309ha, 0.6% 증가했다.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73만 2,477ha)의 74.3% 수준이다.
통계청은 "집중호우와 태풍이 없었고, 기상여건이 양호해 재배면적이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0년 강타한 집중호우로 크게 줄었던 벼 재배면적이 복구됐고 기상여건도 양호했던 영향으로 보여진다.
벼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곳인 황남이 14만 2,004ha로 전체의 26.1%를 차지했다. 이어 평북(19%), 평남(14.5%) 순이었다. 다만 지역별로 함경북도(-4.7%)와 양강도(-2.1%) 등은 집중호우 피해 복구가 늦어진 탓에 벼 재배면적이 줄었다.
북한 벼 재배면적 통계는 북한 통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대북 농업정책 등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원격탐사 위성영상을 활용해 육안으로 판독해 분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