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김완근 제주시장, 도의회 지적 현안 직접 점검… 시민 불편 해소 ‘속도’
김완근 제주시장이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현안을 직접 챙기며 시민 생활 불편 해소에 속도를 내고 있다.24일 김 시장은 제443회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된 안전·복지·교통 분야 주요 현장 4곳을 방문해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현장 행보는 정책 질의 과정에서 드러난 생활밀착형 문제를 신속히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
▲ 사진=KBS 캡처교육부는 코로나19가 확산된 이후 매 학기 시작 전에 등교 방식을 발표해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일괄적인 전국 단위의 방침을 세우지 않았다. 대신 교육부는 학사운영 유형으로 1유형 정상교육활동 2유형 전체등교+교육활동 제한 3유형 일부 등교+일부 원격수업 4유형 전면 원격수업을 제시했다. 이중 어떤 유형으로 운영할지는 각 학교에서 정하라고 했다. 다만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 특수학교(급), 돌봄교실, 소규모·농산어촌학교의 매일 등교 원칙은 지금처럼 유지한다.
학사운영 유형을 정하는 지표는 ‘학내 재학생 신규 확진 비율 3%’ 또는 ‘학내 재학생 등교중지 학생(확진자+격리자) 비율 15%’로 정했다. 정상등교를 하다가 이 두 지표 중 하나가 기준을 초과하면 2유형, 두 지표가 모두 초과하면 3유형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이 지표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원칙이 아니고, 각 학교가 탄력적으로 가감할 수 있다. 학년별로 학사운영 유형을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교육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오미크론 대응 2022학년도 1학기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와 대학의 방역 및 학사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전면 원격수업 전환의 경우 “신중하게 고려하고, 강화된 학교방역을 통해 대면수업 유지를 노력하라”고 권고했다. 원격수업 전환 기준은 각 학교가 일종의 비상계획(업무연속성계획)을 수립할 때 그 기준을 사전해 정해놓고, 지역별 학생 확진자 비율을 그때그때 고려해 결정할 수 있다. 이밖에 지역별 또는 전국단위 원격수업 전환은 감염 상황을 고려해 교육부가 방역당국간 협의를 통해 조정할 방침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1학기 정상등교를 하겠다는 계획은 학교 중심의 현장대응체계 안착과 오미크론 학생 확진율 흐름을 보면서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며 “올 신학기에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을 고려해, 학교 현장 중심의 학사대응 체계와 비상계획(BCP) 수립, 새로운 학교방역검사체계 마련 등 세 가지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