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이스트시큐리티민간 동시 통역사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포착됐다. 보안업체 이스트시큐리티는 북한 연계 해킹 조직의 소행으로 분류된 새로운 사이버 위협 활동이 다수 포착됐다며 민간 통역사들의 주의와 대비를 26일 밝혔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는 특정 통역사 대상 공격 의도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다각적 분석을 면밀히 진행 중이다. 측면 공격루트를 확보하기 위한 다단계 침투 시나리오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하고 있다.
실제 사이버 공격에 쓰인 이메일을 살펴보면, 영어·중국어·러시아어 등 통역 언어에 따라 본문 내용과 첨부파일 표현이 조금씩 다르다. 공격자는 행사 참여 가능여부와 함께 어느 부분의 통역을 맡아줄 수 있는지 물으며 자연스럽게 첨부 파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했다.
하지만 정작 첨부 파일을 클릭해도 문서는 내려받을 수 없으며, 대신 중요한 전자문서 인증용 보안 화면처럼 꾸민 특정 웹사이트를 보여준다. 여기서 이메일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통역사 계정정보가 외부로 빠져나간다.
공격자는 피해자에게 따로 이메일을 보내 ‘답신이 늦어 죄송하다’하다며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인해 행사가 미뤄졌다는 식으로 대화를 마무리하는 치밀함도 보였다. 피해자가 정상적인 통역 의뢰 메일로 믿어 개인정보 노출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이번 공격을 북한 해커 조직의 소행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12월 블록체인협회를 사칭한 해킹 메일 등과 공격자의 해외 거점(서버) 주소가 일치한다는 이유다. 북한 해커 조직이 사용해온 매크로 코드와 감염 수법이 100% 동일하며, 과거부터 꾸준시 써온 고유 아이디(zhaozhongcheng, Venus.H, Naeil_영문시작)도 발견됐다는 설명이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위험이 확산되지 않도록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관계 당국에 위협 정보를 공유했다. 현재 공격 의도를 규명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분석을 진행 중이다.
문종현 이스트시큐리티 이사는 “동시 통역사들이 외교·안보·국방·통일 분야 국제 콘퍼런스나 다양한 정부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며 “주요 인물에 접근하기 위한 사전 초기 침투 과정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평소 보지 못했던 발신자나 뜬금없이 도착한 이메일은 항상 주의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