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째 파업 중인 택배노조(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는 배송 물량이 급증하는 명절 시즌을 맞아 수위를 더 높이고 있다.
파업이 길어지면서 노조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는 가운데 사측은 물론 노조가 개입을 요구하는 정부와 여당에서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택배노조는 지난 18일부터 롯데‧한진 등 다른 택배사에 택배 접수 중단을 요구하고, 2000여명의 조합원 상경 투쟁을 추진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택배노조는 앞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시간과 장소 구애 없이 오늘부터 72시간 동안 CJ대한통운에 공식 대화를 제안한다”며 지난 17일 오후 1시까지를 그 기한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사측에서 응하지 않으면서 노사 대화는 무산됐다.
사측은 노조가 요구하고 있는 사회적 합의 이행 여부에 대한 문제는 현재 국토교통부의 현장점검에서 판단할 부분이고, 협의 주체 역시 택배기사들과 계약을 맺은 택배대리점이라는 설명이다.
택배요금이 인상되면 일정 비율로 택배기사들에게 지급되는 수수료도 많아져 일방적으로 인상분을 가져갈 수 없다는 것이다.
노조가 요구하고 있는 정부와 여당의 개입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정부는 노사 간 문제라며 정부 개입이 불가하다는 입장이고, 여당에서도 파업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상황이다.
택배특별관리는 연례적으로 시행하는 것이지만, 파업 참여 노조원이 많지 않은 만큼 추가 인력 투입으로 배송 차질 문제가 일부 해소될 경우 파업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총파업 초반 40만개의 택배가 배송에 차질을 빚었다가 현재는 20만개로 줄어든 상태다. 생활고 문제로 현장으로 복귀하는 노조원들이 생겨나면서 현장 혼란도 초반에 비해서는 개선됐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다만 파업이 설 연휴까지 이어질 경우 배송 차질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보통 설, 추석 명절에는 평시 대비 택배 물량이 50% 이상 증가한다.
택배업계 한 관계자는 “택배기사는 배송한 물량에 따라 수익이 늘어나기 때문에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생계 문제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설 물량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이번 주와 다음 주가 사태 해결의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달 27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입장문을 통해 “택배노조는 연말연시 성수기의 택배 물량을 담보로 자신들의 요구사항만을 관철시키려 하고 있다”며 “그러나 더 이상 ‘위력과 투쟁을 통하면 무엇이든 얻을 수 있다’는 구시대적 노동운동 발상에서 비롯된 파업에 공감할 국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또 “이번 파업은 방역 강화로 인해 온라인에 의한 생필품 수급 의존도가 높아진 국민들의 생활에 극심한 타격을 줄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판매가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 온라인 판매로 간신히 명맥을 잇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생계에 치명상을 입힐 수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CJ대한통운 측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택배업계에서 가장 모범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행하고 있다”며 파업의 명분이 없음을 강조했다. 이어 “합법적 대체 배송을 방해하거나 불법 파업 등으로 일반 택배기사와 대리점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법과 원칙에 따라 현장을 관리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