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해킹으로 지난해 약 4억 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빼앗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한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을 사용하는 등 고도화한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도 드러났다
13일(현지시간) 미국의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모두 3억9,500만달러(한화 약 4,680억원) 규모의 가상화폐를 해킹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킹 공격은 주로 투자 회사와 거래소에 집중됐고 피싱과 악성코드, 악성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가상자산을 빼돌린 뒤 이를 북한이 움직이는 지갑으로 저장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 같은 작업은 주로 '라자루스 그룹'으로 알려진 북한의 해킹 그룹이 주도했다고 체이널리시스는 추정했다. 라자루스는 북한군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으로 미국과 유엔 제재 명단에 포함돼 있다.
이 해커조직은 2014년 북한 체제를 조롱한 영화를 제작한 미국 소니픽처스를 해킹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국제사회에 이름을 알렸다.
보고서는 특히 북한의 해킹 패턴 변화에 주목, 세탁작업이 정교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북한이 해킹한 가상화페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20%로, 2017년 100%에서 5분의1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더리움 비율이 58%로 가장 높았고, 알트코인과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 나머지 22%를 차지했다.
다만 보고서는 북한이 해킹한 가상화폐의 상당량을 현금화하지 않은 채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